‘물가 잡기’ 명목으로 수입 봇물

계란으로 시작해 닭고기까지
AI 잠잠한 상태임에도 불구
수입과 비축 계란 푸는 행태
예산 낭비의 전형 비난 거세

닭고기 내년 초에 3만톤
무관세로…육계업계 반발
투명화 명목 계란 공판장
제대로 된 경매조차 없어

 

[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2023년 계묘년 역시 양계업계에 바람 잘 날이 없던 해로 기록될 전망이다. 크게 ‘산란계협회’, ‘물가잡기’, ‘사육면적 확대’ 등으로 압축할 수 있겠다.
먼저 양계협회에서 독립한 산란계협회는 지난 1월 농식품부로부터 사단법인 인가를 받으며 본격 활동에 돌입했다. 정기총회를 열어 올해 사업계획과 예산을 승인하고 ‘월간 산란계’ 잡지를 발행하는가 하면, 산란계협회를 계란자조금 사업 주관단체로 지정하는 등 존재를 과시했다. 또한 ‘제1회 전국산란인대회’를 개최하는 한편,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스마트산란계산업협회’ 비영리법인 허가를 받는 등 굵직굵직한 일들을 해냈다. 
육용종계부화협회와 산란계협회의 독립으로 난국에 빠졌던 양계협회는 오세진 직무대행을 제23대 회장으로 선출하며 새 국면을 맞았다. 오세진 회장은 양계협회 내부 조직 재정비와 함께 육계분과위원장에 윤금로 공주육계지부장을 선임하고, 종계 및 채란분과위원회의 정상화를 위해 힘썼다. 아울러 지난 9월 ‘2023 한국국제축산박람회’를 성황리에 개최하며 대내외에 저력을 입증했다. 
1년 내내 양계업계를 시끄럽게 한 것은 ‘물가잡기’란 미명하에 진행된 정부의 축산물 수입 정책이었다. 계란 수입으로 시작해 닭고기 수입으로 끝났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연중 수입 기조를 이어갔다. 실제 정부는 고병원성 AI가 잠잠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스페인산 신선란 121만 개를 수입하는 한편, AI 발생에 대비해 비축했던 계란을 시장에 집중 방출하는 등 시장을 흐려 공분을 샀다. 이에 협회들은 ‘계란 수입 절대 반대’란 성명을 내고 ‘예산 낭비의 전형’이라며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닭고기 역시 마찬가지. 정부는 올해 총 15만 톤의 할당관세를 추진해 닭고기 수입량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내년 1분기에 닭고기 3만 톤을 무관세로 들여온다고 밝혀 육계업계가 강력 반발하고 있다.
산란계 사육면적 확대와 계란공판장도 논란의 중심에 섰다. 2025년 9월부터 산란계 사육 면적이 마리당 0.075㎡로 조정되는 가운데, 계란 원가 상승과 소비자 부담 등을 이유로 전면 철회해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형평성 등을 이유로 예정대로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섰다. 또 계란가격 투명화 및 후장기 거래방식 개선을 위해 도입된 계란공판장이 제대로 된 경매는커녕 형식적인 온라인 경매와 정가·수의 매매만 이뤄져 비난 여론이 높았다.
특히 자조금은 거출률이 50% 미만인 축종에는 정부보조금 매칭 불가 지침에 의거, 정부보조금을 지원받지 못하는 치욕을 겪었다. 또 계란자조금은 거출기관 변경에도 불구하고 저조한 흐름을 보였으나, 닭고기자조금은 거출 재개로 정상화에 다가서 희비가 엇갈렸다.
각 단체장들의 수장을 선출한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이슈다. 양계협회장에 오세진 직무대행이 선출됐고, 문정진 토종닭협회장은 3연임, 김상근 육계협회장은 2연임, 전만중 식용란선별포장업협회장은 연임에 성공했다. 양계조합의 경우 한국양계농협은 정성진 전 조합장, 대전충남양계농협은 임상덕 현 조합장이 당선돼 4년간 조합을 이끌게 됐다.
계묘년은 지난 10일 전남 고흥 육용오리농장의 H5N1형 고병원성 AI 확진에 따라 AI로 마무리될 전망이다. 2024년 갑진년은 양계산업에 긍정적인 뉴스만 가득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