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발표한 보급률 수치
CCTV 하나 설치해도 포함
AI 기반 농가 10%도 안돼
업체, 저가형 스마트팜 주력
정부의 다양한 부양책 절실

인공지능에 기반한 축산 스마트팜 보급률은 전체 축산농가의 10%에 불과하다. 
인공지능에 기반한 축산 스마트팜 보급률은 전체 축산농가의 10%에 불과하다. 

 

정부가 추진하겠다는 축산 스마트팜 정책이 “실적 만들기에 급급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축산 스마트팜 산업의 어려움은 고려하지 않고, 낙관적으로 전망하면서 업계의 눈총을 받고 있다. 

최근 정부는 인공지능(AI) 기술 등 정보통신기술(ICT)에 기반한 축산 스마트팜 보급률을 2027년까지 40%로 확대하겠다고 밝혔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지난달 13일 정부 발표에 따르면 축산 스마트팜을 도입한 전업농가(2014년~2023년)는 7265농가이며 23% 수준이다. 오는 2027년에는 전업축산농가 5곳 중 2곳 수준인 1만3000여 농가로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일단 정부의 축산 스마트팜 보급률이 과장된 사실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보급률 23%는 스마트팜 기준을 대폭 낮춰서 억지로 끼워 맞춘 수치라고 하는데, 그 이유로 정부가 온도 센서가 있고 창문이 자동으로 개폐되는 수준의 농장은 모두 스마트팜으로 분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연의 기능인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인공지능으로 실시간 분석해 농장주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팜은 실제 10%에도 못 미친다는 것이다. 심지어 한우농가의 경우 CCTV만 설치해도 스마트팜으로 등록하고 있다고 한다. 

또 축산 스마트팜 시설을 개발·보급하고 있는 업체 대부분은 신생 소규모이며, 상당수가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다. 10인 미만 소규모 업체는 90%에 달하고, 창업 10년이 안 된 업체도 70% 이상이다. 

따라서 축산업에서 스마트팜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충분히 활성화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한 스마트팜 업체 관계자는 “새로운 모델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 마련이 부담돼 저가형 스마트팜을 주력으로 공급하고 있다”며 “이마저도 한정된 국내시장에서 축산농가들이 감소하면서 판로가 막히고 있고, 해외시장에서는 네덜란드, 중국 등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는 규모화 된 스마트팜 업체들과 경쟁에서 밀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스마트팜 업체 관계자는 “2027년까지 전체 축산농가의 40%를 스마트팜으로 전환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자동화와 스마트팜은 엄연히 다르다. 제대로 된 스마트팜을 축산농가에 보급하려면 스마트팜 업체들에게 정부가 다양한 지원 사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