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 남아있었지만 종료
“현재 상황 심상치않다”
조정 목소리 다시 제기
10년 동안 업계 큰 변동
과거와 상황 많이 달라
‘정부 나서야’ 한목소리

 

 

목차


[상] 도축장 구조조정 어떻게 됐나.

[중] 10년간 어떻게 변화했나.

[하]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도축장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의견이 모이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구조조정법 부활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구조조정법 부활을 위해서는 현재 작업중인 도축장들의 동의가 필요한데, 최근 이뤄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구조조정 재추진에 동의한 작업장은 전체 70개 작업장 가운데 절반도 채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특히 대형 작업장의 참여 의지가 저조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자체 거출금에 의한 구조조정은 다시 이뤄지기 힘들 것이라는 게 관계자의 전언이다. 

현재의 가동률과 경영 상태 등을 고려했을 때는 도축장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공감하고 있지만, 구조조정 방법에는 동의를 얻지 못한 상황이다.

‘도축장구조조정추진협의회’를 통해 소는 마리당 3000원, 돼지는 300원의 분담금을 조성했는데, 도축장의 폐업지원금격으로 이를 집행하면서 17개의 도축장이 폐업했다.

당초 목표는 법 기한내인 2015년까지 86개소 가운데 36개소만을 남기고 폐쇄를 유도하는 것이었으나, 업계의 기대와는 달리 17개소의 폐업을 끝으로 법이 일몰되면서 아쉬움을 남겼다.

목표실적에 비해 턱없이 낮은 수치의 결과와 200억 원가량의 구조조정자금이 남아있었기에 도축장구조조정협의회는 계속해서 이를 유지하면서 법을 연장하고자 노력했으나. 결국에는 2015년 말 법 종료와 함께 더 이상의 사업추진은 어려운 것으로 결론이 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협의회는 해산하지 않고, 계속해서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유지하고 있는 상황인지라 현장에서는 제2의 구조조정이 조속히 시행돼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 관계자는 “도축장구조조정협의회를 해산하지 않고 유지한 이유를 되짚어 보고 다시 한 번의 구조조정을 시행해야 한다”라면서 “대형 도축장에 밀려 경영압박에 시달리는 도축장의 폐업을 돕는 것은 전체 산업을 위해서도 필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자체거출금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이 팽배하기 때문에 공적자금 투입으로 제2의 구조조정을 이끌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 관계자는 “과거의 방식대로라면 대형 패커들이 분담금을 가장 많이 내야 하는데 지금 상황에서는 동의를 얻기가 쉽지 않다”라면서 “10년의 세월 동안 업계의 지각변동이 일어나면서 과거와는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라고 말했다. 특히 작업 물량이 가장 많은 농협의 4대 공판장과 계통 공판장들의 참여를 끌어내야 하는데, 현재 상황에서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이에 과거에 이미 뼈를 깎는 노력으로 분담금을 완납하고도 현재 상황이 나아지지 않은 사업장들을 구제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나서야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는 것.

도축산업 관계자는 “도축산업이 명실상부 축산업을 지탱하고 있는 최전방 공격수인 만큼 정부의 지원대책 또한 뒤따라야 한다”라면서 “도축업계의 어려움을 타개하고 도축장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정부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