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 산업화는 많은 사람에게 아직 다소 생소한 단어다. 농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활동인 6차 산업화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 잘 활용하여 농가의 소득도 높여 나갔으면 한다.

  

1. 6차 산업화란

6차 산업이란 농촌에 존재하는 모든 유무형의 자원을 바탕으로 농업과 식품, 특산품 제조·가공(2차 산업) 및 유통·판매, 문화, 체험, 관광, 서비스(3차 산업) 등을 연계함으로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1차 산업인 농림축수산업, 2차 산업인 제조·가공업 그리고 3차 산업인 서비스업을 복합화로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말하는 6이라는 숫자는 1+2+3의 의미다. 일부에서는 1 곱하기 2 곱하기 3이 돼야 한다고도 한다. 

6차 산업화는 1990년대 중반 일본의 이마무라 교수가 주창한 개념이고 우리나라에는 1990년대 후반에 소개됐다.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는 농가의 고부가 가치화와 지역경제 활성화, 농촌 활력 창출 등을 위해 1차 산업인 농업을 2·3차 산업과 융·복합하는 이른바 6차 산업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6차 산업의 장점은 지역의 자원을 활용하고 지역 주민이 직접 산업을 주도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창출된 부가가치와 일자리를 농업·농촌으로 내부화할 수 있어 침체된 농촌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기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2. 왜 필요한가

6차 산업이 농가 경제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6차 산업이 내포하고 있는 부가가치 창출 과정에 있다. 원료가 되는 생물이나 자원이 다양한 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면 부가가치가 창출된다는 개념이다.

농업인은 농산물 판매와 더불어 2·3차 산업을 통해 보다 나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소비자는 우리 농부가 직접 만들어 믿을 수 있는 먹거리와 농촌의 관광자원을 즐길 수 있으며 농촌지역은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로 새로운 활력을 도모할 수 있다.

우리 농업은 점차 성장이 정체되고 있는 상황이다. 도시지역에 비해서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와 젊은층 중심의 이촌 현상은 농촌의 활력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농촌에 존재하는 유·무형의 자원을 2차 제조·가공, 3차 유통·관광 등과 연계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시키고자 하는 농업의 6차 산업화는 앞으로 우리 농업·농촌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 할 수 있다. 

 

3. 어떻게 추진해야 하나

농업의 6차 산업화를 추진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주체는 바로 지자체와 지역주민이다. 지역별로 특색 있는 자원을 활용하는 6차 산업화는 지역주민과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상향식·자율적으로 추진될 때 그 효과가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업 초기 단계에서부터 지역공동체 중심으로 주민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사업계획을 수립하도록 유도하고, 시제품 생산 등 창업을 지원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농촌에 부족한 인적역량은 귀농·귀촌이나 재능기부를 통해 외부전문가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농업의 6차 산업화를 통해 농촌은 더이상 생산의 공간만이 아니라 치유의 공간, 체험의 공간,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력 넘치는 공간으로 재탄생할 것이다. 이를 통해 고령농 및 여성 중심의 일자리 창출로 생산적 복지 및 공동체 회복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4. 축산업에서의 사례와 적용 

농업 부문에서는 많은 성공 사례가 있지만 축산 부문에서는 그렇게 많은 것 같지는 않다.

하지만 전북 임실치즈마을의 체험관광과 상하목장 등이 명소로 크게 인기를 얻고 있다. 1차 산업인 낙농업으로 시작해 치즈 제조와 체험·교육 등 2·3차 산업으로 확대됐다. 

축산분야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지만 일본 사이보쿠팜 등의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적용을 확대해 나갔으면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의 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축산업의 활성화와 국제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마트팜(smart farm)’화와 연계한 6차 산업화를 확대 적용해 나갔으면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