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농장 상황 정확히 진단
정기적으로 발병 여부 검사
발견되면 감염률 빈도 측정
감염 시기‧유전형 파악해야

농장 안정 후 외부요소 관리
반드시 음성돼지 도입하고
합사 전 격리 사육후 재검사

’올인 올아웃‘으로 차단 방역
내부 이동 동선 겹치지 않게
출하대 구획화 접촉 차단케

철저한 축사 내부 소독은 돼지 호흡기생식기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다.
철저한 축사 내부 소독은 돼지 호흡기생식기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다.

 

국립축산과학원은 국내 돼지 사육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돼지 호흡기생식기증후군(PRRS)’ 예방에 각별하게 신경 써 줄 것을 당부했다.

국내에서 제3종 가축전염병으로 분류된 돼지 호흡기생식기증후군은 유산을 포함한 번식 장애, 호흡기질환, 성장률 감소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전파력이 강하고, 바이러스 변이가 많아 양돈농장에서 관리하기 어려운 질병이다. 특히 미국과 중국에서 확산한 적이 있는 병원성 강한 돼지 호흡기생식기증후군 바이러스가 최근 국내에서도 확인돼 주의가 요구된다.

양돈농장에서는 돼지 호흡기생식기증후군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현재 농장 상황을 정확하게 진단해야 한다.

먼저 정기적으로 발병 여부를 검사해 만일 감염된 돼지가 발견되면, 사육 구간별 감염률과 빈도를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감염 시기와 최근 유행하는 바이러스 유전형을 파악한다.

농장 상황이 안정화됐다면 외부 위험 요소를 관리한다. 돼지 호흡기생식기증후군이 농장에 유입되는 가장 큰 위험 요인은 후보돼지를 들이는 것이다. 반드시 음성 돼지를 도입하고, 합사 전 격리 사육한 뒤 병에 걸리지 않았는지를 검사한다. 또 방역시설을 설치하고 방역 조치를 실천하는 등 농장 차단방역 수준을 높인다.

기본적으로 ‘올인올아웃’을 지켜 차단방역을 실천하고, 농장 내부에서는 돈사별 작업자와 돼지, 기구 등의 이동 동선이 겹치지 않게 한다. 농장에 외부인 출입을 최소화하고 누구나 알아볼 수 있게 방역 구역을 만드는 것이 좋다. 돼지 축사 안팎으로 통하는 공간(전실)은 높이 45cm, 폭 15cm 차단벽 또는 폭 1m 이상 발판을 설치해 경계선을 명확하게 한다.

방역 구역 경계선을 페인트 등으로 눈에 띄게 표시하고 이곳을 통해서만 외부인과 차량이 출입하면 소독 관리가 한결 수월해진다. 방역 구역을 비추는 CCTV 설치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특히 질병 감염 위험에 노출된 출하대를 구획화해 내외부인의 접촉을 차단하고 출하대까지 이동하는 돼지 동선을 전후로 구분한다. 아울러 돼지의 임상 증상 관찰과 폐사율, 유산 비율, 생산 성적 등을 주기적으로 점검해 질병을 조기에 발견한다. 기침과 같은 호흡기 증상이 있는지도 매일 관찰하며 어미돼지의 사료섭취량, 음수량이 급격히 감소하면 감염 초기일 가능성이 크다.

허태영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질병방역과장은 “안타깝게도 돼지 호흡기생식기증후군을 완벽하게 방어할 방법은 아직 없다”며 “농장에서의 차단방역 시설 강화와 지속적인 질병 관리가 최선의 예방책”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