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혜진 기자] 슈링크플레이션이란 가격은 유지하면서 제품 크기나 수량을 줄이거나 품질을 낮춰 사실상 값을 올리는 효과를 거두는 전략을 말한다.
슈링크플레이션은 영국 경제학자 피파 맘그렌이 2015년 만든 용어로, ‘줄어든다’라는 뜻의 ‘슈링크(shrink)’와 ‘물가 상승’을 나타내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이다. 
혹자는 ‘패키지 다운사이징(pack age downsizing)’이라고도 한다. 
가격을 인상하면 소비자의 저항이 커질 수 있으므로, 제품의 크기나 중량을 줄이거나 품질을 낮추는 방식으로 비용을 전가하는 것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제품 가격은 그대로인데 실제로 받는 양이나 품질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손해다. 
슈링크플레이션은 경제 위기나 물가 상승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특히 많이 나타나는데,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면서 슈링크플레이션이 확산하고 있다.
기업이 원자재나 인건비 등 비용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식품업계에서는 이미 수년 전부터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과자류에서는 흔히 있는 일로 소비자들은 이러한 현상을 두고 ‘과자를 샀더니 질소가 왔다’, ‘과대 허위포장이 소비자를 기만한다’라는 등의 반응을 내놓았지만, 제조사들은 원가상승을 이유로 멈추지 않았다. 
이러한 추세는 축산업계에서도 일고 있다. 중량 판매를 하는 육류는 어쩔 수가 없지만, 패키지 포장을 하는 우유에서 수년 전부터 슈링크플레이션이 나타났다. 
이미 규격화 되어있는 우유 팩 안에 우유 용량을 줄여 담는 현상이 나타난 것인데, 처음에는 PB제품들이 잇따라 출시되면서 1000㎖ 기준에서 980㎖, 920㎖ 등 다양한 용량의 우유가 생산됐다. 
소비자들은 같은 규격의 카톤팩 내에 제각기 다른 용량의 우유가 들어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 채 구매하기도 했고 오랜 관행 탓에 의례 PB제품은 용량이 적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큰 저항이 없이 변칙용량이 자리 잡았다. 
문제는 2~3년 전부터는 대표 상품군도 용량 줄이기에 돌입했다는 것이다. 
소비자 물가안정이라는 이유로 우유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자, 서울우유를 제외한 매일, 남양 등은 용량을 900㎖로 낮췄다.
정부가 억지로 가격을 억제하니,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할 수밖에 없다는 게 유업계의 입장이다. 
시장 논리에 따라 자유롭게 가격이 결정되도록 하면 용량을 줄이지 않아도 된다는 것. 
그 결과 유일하게 서울우유만 나 100% 카톤팩을 1000㎖로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마저도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알 수가 없다. 올해 역시도 정부가 나서 물가안정을 이유로 최소한의 가격 인상을 단행토록 하면서 선택의 여지가 없어진 것이다. 
계속해서 손해를 보며 판매를 할지, 용량을 줄여 비용 상승에 대응할지 기로에 서 있다. 
슈링크플레이션을 단순히 눈속임을 통한 수익 창출인지로 봐야 할지, 유업계의 생존전략으로 봐야 할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