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한정희 기자] ASF 야생멧돼지가 계속해서 남하하는 가운데, 이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한 5단계(상주~영덕) 광역 울타리마저 뚫렸다. 정부가 또 ASF 야생멧돼지 남하 차단 대책을 내놓았지만, 이는 기존 대책의 재탕 삼탕으로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 한돈업계도 정부의 이번 대책에 별다른 기대를 하지 않는 분위기다. 이러한 상황에서 ASF의 사육돼지 발생 위험은 점점 확대되고 있다. 이제는 ASF 확산 책임을 농가에 지우지 말아야 한다. 그럼에도 추석을 앞두고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ASF 야생멧돼지는 2019년 10월에 처음 발견된 이후 최근 경북까지 내려갔다. 지난 8월 말 이후 영덕군에서 폐사체 5건이 나왔고, 지난 4일에는 처음으로 청송군(2마리)에서도 발견됐다. 전문가들은 “주왕산 국립공원과 신성계곡 등을 통한 ASF 확산이 우려되는 가운데, ASF가 새로운 지역의 사육돼지에서 발생해도 이상하지 않다”고 밝혔다.
한돈농장 주변에 ASF 감염 야생멧돼지가 뛰어다니고 폐사체가 즐비한데, ASF가 사육돼지에서 발생했다고 해서, 그 책임을 한돈농장에 물을 수 있는 것인지, 야생멧돼지 관리책임은 어떻게 물어야 하는지 궁금하다. 농식품부·행안부·환경부는 열화상 드론과 연계한 포획단(엽사) 운영, 수색반 30명과 탐지견 6마리 투입 등의 대책을 마련했다. 또 이른 시일 내에 ‘경북지역 ASF 확산 방지 대책’을 마련한다고 발표했지만, 한돈업계와 방역 전문가들은 새로울 것이 없는 대책이라고 지적했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야생멧돼지가 농경지 인근으로 내려오는 등 발생위험이 커지고 있다. 지금까지 한돈농장 ASF 발생은 37건으로, 2021년부터 지금까지 총 21건이 발생했다. 이 기간에 월별 발생 건수를 살펴보면 △1월 3건 △2월 1건 △3월 3건 △4월 0건 △5월 2건 △6월 0건 △7월 1건 △8월 4건 △9월 4건 △10월 1건 △11월 1건 △12월 0건으로 집계됐다. 
8월과 9월이 4건씩으로 가장 많다. 8월에는 집중호우와 태풍이, 9월에는 많은 이들의 이동이 있는 명절 추석이 있다. 올해는 다행히 집중호우와 태풍에도 ASF 바이러스가 한돈농장으로 유입되지 않았다. 추석 이후 1~2주도 잘 넘기길 기대한다. 
그러나 한돈농장 주변은 ASF 바이러스가 항시 존재한다고 봐도 무방한 상황이 되어 간다. 한돈농가는 농장 단위의 방역 관리에 대해 특히 주의해야 한다. 농장별 차단방역 강화가 최선인 상황이다. 정부가 특단의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지금, 단기간 ASF 청정화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더 이상 ASF 바이러스가 한돈농가의 삶을 뒤흔드는 일은 없어야 한다. 농식품부도 환경부도 ASF 중앙사고수습본부도 어찌하지 못하는 ASF에 대한 확산 책임을 농가에 지우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전국이 ASF 발생 사정권 안에 있어,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다. 갖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ASF가 유입된 한돈농장에 불이익을 줘서는 안 된다. ASF가 농장에 유입되지 않도록 가장 조심하고 노심초사하는 사람은 농식품부나 지자체도 아닌 한돈농가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