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시각] 최고의 박람회 거듭나길
[기자시각] 최고의 박람회 거듭나길
  • 김기슬 기자
  • 승인 2023.09.15 11: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2023 한국국제축산박람회가 대구 엑스코에서 3일간의 일정을 마무리하고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올해 12회째를 맞이한 이번 축산박람회에는 네덜란드, 덴마크, 스페인, 미국, 베트남, 튀르키예,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중국 등 10개국 214개 업체 665개 부스가 참가했으며, 약 2만6000명이 박람회장을 찾았다. 
특히 이번 행사는 관람객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즐길거리를 마련한 점이 눈길을 끌었다. 
축산업과 관련된 풍성한 전시는 물론 ‘악취저감시설 의무화 대상 관련 악취저감특별관’과 ‘곤충산업특별관’ 등 다채로운 분야의 전시와 다양한 학술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또한 계란요리 경연대회와 곤충의 날 기념식 등 볼거리뿐 아니라, 야외 행사장에서는 소비자와 함께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 등의 놀거리, 한우·한돈 할인판매 등 살거리, 축종별 시식 이벤트 등 먹을거리까지 관람객들의 오감 만족을 위한 주최 측의 노력이 역력히 드러났다.
특별한 손님도 박람회장을 찾았다. FAO한국협회와 AARDO(아시아·아프리카농촌개발기구)가 주관하는 ‘아시아·아프리카 국가 공무원 연수단’이 방문해 생산, 사료, 정보, 종축 등 다방면의 업체를 방문했으며, 네덜란드 신임 대사가 부임 후 첫 방문지로 KISTOCK 2023을 방문해 박람회 조직위원장과 함께 여러 부스를 방문하고 학술행사에 참여하는 등 깊은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대한민국 유일, 최대의 국제축산박람회라는 명성에 걸맞지 않게 해외업체의 참여율은 10개국에 그쳤다. 행사장을 찾은 관람객 역시 대부분 한국인으로 외국인 참관객이 거의 눈에 띄지 않았다.
전시업종 분포도 △설비·기자재 58.7%, △사료 18.8% △동물약품 4.3%(9업체) △농장경영·기타 18.3% 등으로 설비·기자재 분야 외에 나머지 분야는 참여율이 저조했고, 매번 행사 때마다 지적되는 고질적 문제인 식당 부족도 어김없이 지적됐다.
다음 축산박람회는 2025년에 열린다. 제기된 문제는 개선·보완해 최고의 박람회로 거듭나길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