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해마다 양봉농가는 늘고 있다. 축산농가 감소세와 달리 매년 평균 5.2%에 달하는 증가세를 보인다. 꿀벌 소멸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무색해지는 수치다.
이렇게 신규 농가가 꾸준히 유입되면 양봉산업 미래가 밝아 보이겠지만 실상은 그렇지가 않다. 오히려 대책 없이 늘어난 농가수로 제살을 파먹고 있는 형국이다.
양봉업에 유독 사람들이 몰리는 이유는 일단 진입 턱이 낮아서다. 소자본으로 창업이 가능하며, 농장부지와 축사가 반드시 필요한 것도 아니다. 사양관리도 일반 가축에 비해 쉬워 보이는데다, 혹여 폐업한다고 해도 크게 손해 볼 일은 없다고 여긴다. 
그래서 귀농인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품목이 양봉이다. 여기에 발맞춰 지자체들은 귀농인을 대상으로 한 양봉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창업을 지원하고 있다. 
또 취미 및 부업으로 삼는 도시양봉도 우후죽순처럼 즐비하다. 
양봉은 진입이 쉬운 만큼 폐업도 쉽다. 귀농인들을 비롯해 처음 양봉을 시작한 경우 3년을 넘기는 비율은 10%를 채 넘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다 이듬해가 되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양봉을 시작하려는 이들로 넘쳐난다. 이 같은 패턴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는 사이 양봉농가들은 부족한 밀원수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경쟁하면서 벌꿀 생산량이 급감했고, 높은 봉군밀도는 꿀벌 질병이 발생하면 지역으로 빠르게 전파되는 등 병충해 피해가 누적되고 있다. 
꿀벌 소멸 회복을 양봉농가 양적 증가에 초점을 맞춘 까닭이다.  
신규 양봉농가가 늘어난다고 해서 결코 환영할 일이 아니다. 그만큼 중도에 포기하는 사례도 많다. 따라서 정부 및 지자체 지원도 최소한 양봉산업법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등록된 양봉농가에 한해서만 이뤄져야 한다. 아울러 다 같은 양봉농가라 하더라도 전업농과 취미·부업농을 구분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충분한 밀원수와 적절한 사육군수, 그리고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선행되지 않는 한 밑 빠진 독에 물 붇기와 같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