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 경쟁 통한 경쟁력 강화 질적 성장에도
무차별 수입·환경 규제란 외부 충격에 한계
초고령화 진입에 후계자까지 없는 상황에서
ICT강국 이점 살린 스마트 축산 정착 시급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축분뇨와 악취, 질병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 지향적인 축산 발전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축종별(한우·돼지·젖소)로 스마트 축산 시범단지 조성사업을 2019년부터 시작했다.  축산업의 초고령화 사회 진입과 축산농가의 60% 이상이 후계자도 없는 상황에서 향후 축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축산의 정착이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한 상황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가축분뇨와 악취, 질병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 지향적인 축산 발전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축종별(한우·돼지·젖소)로 스마트 축산 시범단지 조성사업을 2019년부터 시작했다. 축산업의 초고령화 사회 진입과 축산농가의 60% 이상이 후계자도 없는 상황에서 향후 축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축산의 정착이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한 상황이다.

 

[축산경제신문 권민 기자] 환경친화적 축산이 축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은 지 얼마 되지도 않은 지금, 축산업이 미래산업으로 번영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축산’으로 변모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갖는다.
생산만 하면 팔리던 양적 성장의 축산이, 저렴한 외국산 축산물의 무차별적 수입 앞에서 품질 경쟁이라는 질적 성장을 맞이하게 된 것은 외부 충격에 의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하지만 1980년대부터 급속하게 성장하기 시작한 축산업이 외부의 도전으로부터 살아남기 위한 고난의 극복사는 이 뿐만이 아니었다. 국내로 수출하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을 전개해온 수출국과의 피튀기는 경쟁에, 환경 규제라는 내부 걸림돌은 다시 한 번 축산업의 패러다임을 변하게 만들었다.
환경친화적 축산이 그러한데, 환경친화적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희생이 뒤따른다는 사실을 축산 외부에서는 잘 알지 못한다. 정부나 소비자의 이중적 태도는 눈앞의 축산물만 따질 뿐이기에 축산물을 생산하는 농가의 입장에서는 억울하다.
예를 들면 환경친화적으로 가축을 사육해 축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동물보호 측면에서 사육면적을 늘려야 하고, 가축분뇨 처리며, 완벽한 위생처리 시설에서 도축하고, 냉장물류시스템을 갖춰 유통 시켜야 하며, 그렇게 처리된 축산물을 일정한 온도에서 보관해야 한다. 모든 것이 비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물가안정의 차원이라는 빌미로 수급이 불안정하다면 무관세 수입을 전가(傳家)의 보도(寶刀)처럼 들고 나온다. 소비자는 또 어떤가? 자신들이 구매하는 환경친화적 축산물에 대해 제 값 치르기를 꺼려한다.
축산농가와 관련 산업의 입장에선 환장할 노릇이다. 오염산업이라고 낙인 찍은 것도 모자라, 수십 년 한 자리에서 국민의 건강에 막대한 공헌을 한 축산농가들을 마치 부도덕하고 파렴치한 부류로 치부하고 “떠나라”고 무언의 압력을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뜩이나 지금 축산업은 초고령시대로 접어들었다. 유엔의 규정에 따른 분류로 ‘고령화사회(aging society)’란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7%를 차지하는 사회를 말한다.
한편 노인인구의 비율이 14%를 넘으면 ‘고령사회(aged society)’,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라고 규정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노인인구비율이 2000년부터 7%넘어가면서 고령화사회로 진입했고 이 비율은 2016년 13.2%를 기록했다. 또 이 비율은 2030년 경에는 24.9%에 도달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
축산업의 인구 비율을 놓고 보면 이미 전체 축산농가의 연령은 50% 이상이 초고령화되어 있다. 더욱이 심각한 것은 이들의 절반도 되지 않는 사람들이 후계자가 없어 조만간 폐업을 해야할 실정이기 때문이다.
스마트 축산은 이렇게 심각한 축산 현실을 극복하자는 차원에서 등장했다. 영어로 스마트(smart)는 영리한 똑똑한이라는 말로 해석된다. 그렇다면 그 스마트 축산의 실체가 뭘까?
스마트 축산을 세트, 패키지 또는 원스톱쇼핑과 같은 개념으로 생각하면 보다 이해하기 쉽다. 소비자, 생산자 이 둘을 연계하는 가공·유통 전체를 유기적으로 묶는 것을 의미한다.
생산자인 농가의 입장에서는 가축의 생장 상황뿐만 아니라 수기 또는 막연하게 비교 분석해오던 자신의 농장 성적을 데이터베이스화 함과 동시에 출하 성적까지 모든 정보를 체계화할 수 있다.
소비자 역시 마찬가지다. 자신이 구입하는 축산물이 어디에서 누구에게 어떻게 사육되었고, 어느 가공·유통 단계를 거쳤는지 총체적으로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다.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SNS 플렛폼을 이용하면 언제 어느 곳에서든 정보를 이용할 수 있고 소통이 가능하다. 가축전염병의 발생으로 지역별로 이동통제가 되더라도 정보의 단절은 없다.
지금 축산업에서는 이러한 스마트 축산이 시도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발달되었다는 인터넷망을 비롯 ICT 등의 기술이 총합되는 스마트축산이 자리를 잡는 날, 국내 축산업은 비로소 미래산업으로,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 굳건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지가 창간 33주년 특집 기획기사로 스마트 축산을 선택한 이유다. 어디까지 진행되고 있는지, 현주소를 알아봤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