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국열 기자] 결과가 훤히 보이는 예측된 시작이다. 그렇다고 성급히 단정하고 싶진 않지만 ‘지속가능한 양봉산업 협의체’가 현재까지 진행되는 과정을 보면 “실속 없음”으로 무게중심이 기우는 것을 감출 수 없다.  
지난 5월 출범을 알릴 때만 해도 늦었지만 이제라도 농식품부를 주축으로 양봉산업에 제대로 된 협의체가 구성됐다며, 기대와 성원을 보냈던 양봉농가들이 지금은 두 눈을 질끈 감았다.
불과 몇 개월 만에 이렇게 양봉농가들이 자포자기로 돌아선 것은 급박한 현장과는 달리 느긋한 협의체의 대응 때문이다. 이상기후와 꿀벌 소멸로 촉발된 벌꿀 생산량 급감에 이어 등검은말벌의 급습까지, 연이은 악재에 몸서리치는 양봉농가 모습과 대조적이다. 어찌 보면 협의체가 할 수 있는 게 별로 없다고 말하는 게 맞을지도 모르겠다.
협의체가 수립한 향후 논의 과제의 면면을 살펴보면 “이대로만 진행되면 더 이상 바랄게 없을 정도”로 이상적이다. 문제될 게 없다. 비록 양봉농가들이 요구하고 있는 꿀벌 소멸 피해 원인과 대책을 명확하게 명시하진 않았다고 해도 표준화된 꿀벌 피해조사 기준, 꿀벌의무자조금 도입 방안, 양봉 공익직불제 등이 포함돼 양봉산업과 양봉농가들에게 충분히 도움 될 것은 분명하다.
다만 협의체가 추진하겠다는 사업들이 차근차근 실현되기 위해선 가장 먼저 예산이 확보돼야 하는데, 결과적으로 올해는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그렇다고 해를 넘기면 예산이 확보돼 사업이 진행된다는 보장도 없다. 
지난 3월 양봉 총궐기대회에서 양봉농가들의 외침에 농식품부 답변은 “기재부의 예산 승인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였다. 그렇다면 최소한 첫 협의체 회의 때부터 기재부 관계자와 동석해 예산의 시급함과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설득했어야 했다. 지금이라도 농식품부가 나서서 기재부와 협의해 9월 전에 예산을 확보할 수 있게 힘을 기울여야 한다. 하지만 여태껏 별다른 행동을 취하지 않는 것을 볼 때, 양봉산업을 살리려는 의지가 부족해 보인다.  
이러니 지속가능한 양봉산업 협의체를 두고, 양봉농가들이 허울뿐인 화려한 말잔치라며 기대를 접는 것이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