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혜진 기자]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원유가격 인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과거에는 인상액이 얼마인지, 언제부터 적용될지에 관심이 쏠렸다면, 원유가격 연동제가 시행된 이후부터는 소비자가격이 얼마나 오를지에 더 초점이 맞춰졌다. 
이렇다 보니, 생산비 인상분에 근거해 산정되는 인상액이 이제는 소비자가격에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해 감가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지난해 시행된 제도개선에 따라, 올해부터는 생산비 변동분에 시장 상황을 반영해서 협상 범위가 결정된다. 따라서 이미 생산비 인상분에 대한 100% 반영은 물건너간 상황에서, 또 소비자가격 인상에 따른 시장 반응까지 고려해 다시 한 번 감가가 들어간다. 
이 때문에 원유가격이 인상되더라도 낙농가들은 실질적으로 소득보전이 어려운 게 사실이다. 
특히 정부가 원유가격 협상에 전면적으로 나서면서, 생산자와 수요자 양측 다 만족할만한 결과물을 얻기는 어려운 상황이 됐다. 수요자측은 소비자가격 인상 자제요청에 따라 정부가 원하는 합리적인 수준에서 가격을 인상해야 하므로 원유가격 인상에 대한 운신의 폭이 더 좁아졌다.
원유가격은 이미 올랐는데 소비자가격을 올리지 못해 낭패를 본 경험이 있어서 더 신중할 수밖에 없다. 
특히나 정부가 전면에서 자제요청을 하는 마당에 속 시원히 가격을 올릴 수도 없는 처지인지라 원유가격 인상 자체가 부담스러운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생산자와 수요자, 어느 한쪽도 만족할 수 없는 협상에서 정부는 올해 원유가격이 인상되더라도 소비자 물가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수차례 강조했다. 
정부는 생산비 급등에 따른 원유가격 인상은 부득이하나, 농식품부의 노력으로 인상범위를 최소화 했으며, 인상이 되더라도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것이라고 못박았다.이는 지난해 농식품부의 강행으로 이뤄진 제도개편의 성과라고 포장했다. 정부가 내놓은 입장에 따르면 국산 원유는 대부분 마시는 우유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까닭에 원유가격이 인상되더라도 가공식품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농식품부는 주요 식품류 중 유가공품과 아이스크림을 제외하면 원유나 유제품을 원료로 사용하는 비중이 높지 않으며, 빵류와 과자류의 경우에는 유제품 원료가 전체 원료의 1~5%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가공식품에 사용하는 유제품 원료는 수입산 의존도가 높아 국산 유제품 원료만으로 한정한다면 훨씬 더 낮을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지역의 소규모 카페, 베이커리 등 상당수 외식업체도 저렴한 수입 멸균우유를 많이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원유가격 인상으로 밀크플레이션이 초래된다는 것은 과장된 측면이 있다는 게 농식품부의 의견이다. 농식품부의 히든카드는 또 있다. 과도한 인상을 자제하도록 유업체‧유통업체와 간담회를 통해 협력을 요청한다는 것이다. 
정말로 원유가격 인상으로 인한 가공식품 시장에 파급효과가 미미하고, 흰 우유의 과도한 인상을 자제해 소비자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을까? 계획대로 진행하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희생이 뒤따를지 우려하지 않을 수가 없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