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한정희 기자] 푸드테크는 기존 식품산업에 첨단기술을 입힌 신산업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중요한 산업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이에 대한 육성이 국내 축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푸드테크 10대 핵심기술 분야 중 세포 배양 식품 생산기술과 식물 기반 식품 제조 기술의 발전이 국내산 축산물 소비 감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달 28일 식품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한층 강화한다는 내용의 ‘제4차(2023년~2027년) 식품산업 진흥 기본 계획’을 발표했다. 푸드테크 핵심기술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지역 단위로 관련 산업 생태계 및 수출 거점을 조성하며, 거대 신생 기업을 육성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을 추진하기에 앞서 푸드테크의 발전이 국내산 축산물에 미치는 영향을 반드시 살펴야 한다.
푸드테크는 식품(Food)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이다. 식품의 생산·유통·소비 전반에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바이오기술(BT) 등 첨단기술을 결합한 신산업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예로 세포 배양 식품 생산기술, 식물 기반 식품 제조, 식품 프린팅, 온라인 유통플랫폼, 무인 주문기(키오스크), 배달·서빙·조리 로봇 등이 있다. 우리는 이 중에서 세포 배양과 식물 기반 식품 제조에 대해 집중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식물성 대체식품은 축산물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먹거리로 인식되며,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축산물 생산에 비해 친환경·윤리적이라는 인식을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대체식품의 가격은 점점 낮아지는 반면, 각종 악재 속에 생산비가 증가하며 국내산 축산물 가격은 높아질 수 있다. 소비자는 이후 축산물을 대신해 저렴해진 세포 배양이나 식물 기반 식품 등을 선택할 가능성이 있다.
농식품부는 올해 안에 ‘푸드테크 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지원 근거를 마련하고, 식물성 대체식품 표시 기준(가이드라인)과 안전관리 규정을 마련하는 등 제도를 정비한다는 계획이다. 법률은 만들어진 이후에는 바꾸는 일이 쉽지 않다. 국내 축산업계에 영향을 미치는 조항은 없는지 미리 살펴야 한다.
푸드테크의 발전이 국내산 축산물의 수요 감소로 이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축산물 수요 감소는 관련 생산 기반 약화와 일자리 감소 등을 촉발한다. 한번 무너진 생산 기반을 다시 정상화하는 것은 너무나도 힘들고 어려운 일이다. 푸드테크 산업 자체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푸드테크의 발전이 국내 축산물 소비 확대에 도움이 되고, 가격 경쟁력과 품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자는 것이다. 
함께 발전하는 방안을 찾자는 말이다. “푸드테크 발전이 축산물 소비 위축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농식품부의 말만 믿고 있을 수는 없는 일이다. 푸드테크 발전과 국내산 축산물 소비 촉진 및 생산 기반 강화를 함께 이룩해야 한다. 푸드테크가 식품산업의 혁신과 부가가치 창출에 이바지할 중요한 산업이 분명하다 해도, 그 영향을 폭넓게 살펴야 한다. 생산자 단체는 이와 관련해 강력하고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