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비 상승에 고액부채
내부 사정 모르면서 몰매”
청년낙농인들, 왜곡 질타

 

[축산경제신문 이혜진 기자] 청년낙농인들이 원유가격 조정을 위한 협상소위원회를 둘러싼 세간의 관심들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한국낙농육우협회 청년분과위원회는 지난 21일 성명을 통해 “현재 낙농현장은 아비규환”이라면서 “지난해 사료비가 20% 폭등하는 등 생산비가 급등하면서 기존 낙농가뿐 아니라 불과 5~10여 년 전 낙농업에 뛰어든 후계낙농인들도 낙농업을 포기하려 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이들이 제시한 근거에 따르면 실제 2022년 낙농가 호당 평균부채가 2020년 대비 20.8% 증가(약 9000만 원)한 5억1000만 원에 달하며, 낙농가 중 절반이 4억 원 이상의 고액부채를 안고 있다. 해외는 생산비가 원유가격에 신속히 반영되는 구조로 지난해 미국의 원유가격은 55.4 % 상승했고 EU도 3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분과위원회는 우리나라는 농가의 생산비가 1~2년 늦게 원유가격에 반영되는 구조로 지난해 급등한 생산비를 농가가 감내해 온 가운데 제도개선으로 쿼터 이내라도 음용유물량(정상가격), 가공유 물량(800원), 초과물량(100원)으로 구분해 유업체로부터 원유 대금을 받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이와 함께 생산비 급등이 맞물리면서 1분기 원유생산량이 전년 대비 3.0%나 줄었고, 올해 생산량 전망치도 지난해와 같이 전년 대비 3%(5만 톤 내외) 선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는 불과 2년 사이 원유생산량 감소가 무려 10만 톤 이상 정도로 기반 붕괴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게 그들의 주장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연일 원유가격 조정을 물가상승의 주범으로 지목하는 ‘밀크플레이션’과 관련한 기사들이 쏟아지면서 낙농업계를 더 곤란하게 하고 있다. 
청년분과위는 “농식품부가 보도자료에서 밝혔듯이 유가공품과 아이스크림류를 제외하면 주요 식품류에서 국산 우유 원료 사용비율이 극히 낮아, 원유가격 상승 시 유제품 외에 제과, 제빵을 비롯한 2차 가공식품 등 식품 전반의 가격상승을 초래한다는 ‘밀크플레이션’은 어폐(語弊)가 있음이 드러났다”라고 설명하면서 “우유제품 가격 인상 때마다 소비자단체 등에서 제기하고 있는 과도한 유통마진 문제는 반드시 개선해야 할 정책과제”라고 꼬집었다. 
끝으로 분과위는 도산위기에 몰린 후계낙농가들을 위해서라도 유업체는 상생의 대상인 낙농가의 현재 상황을 외면하지 말고 적극적이고 성실하게 협상에 임해 달라고 요구하는 한편, 전국의 청년낙농인들은 이번 협상을 예의주시하며 대응해 나갈 것을 천명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