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사 지붕에 물 뿌리거나
송풍휀‧안개분무 가동을
미네랄‧비타민 추가 급여
생산성 감소 최소화해야

목걸이형 발정 탐지기를 착용한 젖소의 모습.
목걸이형 발정 탐지기를 착용한 젖소의 모습.

 

[축산경제신문 이국열 기자] 국립축산과학원은 개체별 생체 정보를 활용해 젖소의 고온 스트레스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연구진은 발정 탐지기 등 정보통신기술(ICT) 장비로 확인할 수 있는 활동량, 누워있는(횡와) 시간, 되새김질(반추) 시간 등 생체정보와 가축더위지수(THI)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젖소는 쾌적한 환경(THI 71 이하)보다 고온 스트레스 환경(THI 78~82)에서 활동량이 19%(9회) 늘었다.

반면, 누워있는 시간은 18.8%(1시간 51분) 감소했고, 되새김질 시간은 약 11.5%(50분) 줄었다.

이 세 가지 지표는 우유 생산량과도 밀접하게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우유 생산량이 많을수록 젖소의 활동량은 적고, 되새김질 시간과 누워있는 시간은 길다. 여름철에 누워있는 시간이 9시간 미만이거나, 되새김질 시간이 10% 정도 감소한 개체, 활동량이 5% 정도 증가한 개체를 발견하면 젖소 상태를 살핀 후 고온 스트레스 저감 조치를 해줘야 한다.

이때 자동 물뿌리개(스프링클러)로 축사 지붕에 물을 뿌리거나 축사 내 송풍휀과 안개 분무를 가동해 축사 온도를 낮추고, 젖소가 물을 충분히 마실 수 있도록 관리하며 미네랄과 비타민을 추가로 급여해 준다. 고온 스트레스 정도가 심한 젖소는 별도 공간으로 이동시켜 시원한 물을 급여하고 목욕시켜 체내 열을 낮춰준다. 만약 필요한 경우 수의사 진료를 통해 영양분을 보충한다.

김상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낙농과장은 “올여름은 평년보다 기온이 높을 것으로 전망돼 젖소 고온 스트레스에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며 “젖소 개체별 생체 정보를 확인하고 신속하게 대응해 우유 생산성이 감소하는 것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