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농장 내가 지킨다” 생각에
농가, 10년 전부터 자비 운영
소독 시설 등 상당비용 투입

“통제·축산물 반출 확인 목적
소독은 부가적…문제 없다”
지자체, 진입로와 별도 설치

[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고병원성 AI 재발로 가금농가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는 가운데, ‘방역초소’의 위치를 두고 김포 산란계농가와 지자체가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봉골농장 윤형수 대표는 방역초소의 위치를 옮겨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지자체는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사건의 발단은 이렇다. 
경기 김포시 월곶면에서 40여 년간 산란계를 사육해온 윤형수 대표는 10년 전부터 고병원성 AI 방역을 위해 마을 진입로에 방역초소를 설치·운영해왔다. 전기와 수도를 설치하고 차량소독기와 대인소독기를 구비하는 등 사비를 들여 방역초소를 운영해온 것이다.
윤형수 대표는 “3년 전 농장에 AI가 발생해 수십억 원의 큰 피해를 입었다”며 “인근에 다른 산란계농장도 있는 만큼 ‘내 농장은 내가 지킨다’는 생각으로 마을 진입로에 방역초소를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지난 겨울 지자체가 AI 예방을 위해 마을 진입로에서 150m 가량 떨어진 전방 언덕에 통제초소를 설치해 운영에 들어간 것. 이에 지자체는 윤 대표의 방역초소에 배치했던 방역요원을 이곳에 재배치함에 따라 윤 대표는 자비로 근무요원을 채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윤 씨는 지자체가 방역 효과가 떨어지는 위치에 통제초소를 설치했다며 초소의 위치를 옮겨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를 부적절한 위치에 설치함에 따라 오히려 방역 효과를 상쇄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동물병원 수의사의 ‘방역초소 설치 위치에 대한 견해’를 그 근거로 제시했다.
실제 모 수의사는 지자체가 현재 초소를 설치한 장소는 경사면이라 농식품부의 통제초소 및 거점소독시설 설치 장소 선정시 안전·예방 원칙에 위배되는 곳으로 고정형 U자 소독기가 설치돼있는 윤 대표의 방역초소 옆을 권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윤형수 대표는 “이미 마을 진입로에 방역초소를 운영하고 있는데 이와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또다시 초소를 세우는 것은 행정력 낭비”라며 “AI 방역을 위해 민관 협력이 절실한 상황에서 지자체가 현장의 의견을 무시한 채 동떨어진 방역 정책을 펴고 있어 안타깝다”고 밝혔다.
반면, 지자체 측은 방역업무 추진상 하등의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가금농가의 AI 유입 방지를 위해 대규모 산란계농장 입구에 선제적 통제초소를 운영 중”이라는 지자체 관계자는 “봉골농장만 입구가 아닌 기존 장소에 해달라는 것인데, 마을 진입로는 개인 사유지인 까닭에 궁여지책으로 군부대에 사용료를 내고 현재의 장소에 초소를 설치했다”며 “‘농장 선제적 초소’는 방역이 아닌 통제가 목적으로 농장주와 출입자들이 방역 기준을 제대로 준수하고 있는지, 축산물이 규정을 지켜 반출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고 소독은 부가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AI로 농장의 방역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인 만큼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 많아 이를 둘러싼 논란은 한동안 지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