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국열 기자] “생존권 보장하라.” 올해 축산업에서 가장 많이 들린 말이다. 지금의 팍팍한 삶이 한계에 달했다며, 생존하기 위해 보내는 구조신호다. 
올해에는 어느 축종 가릴 것 없이 궁지로 내몰렸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배합사료 가격이 올라 ‘생산비 급등’이라는 직격탄을 맞았고, 서민 물가를 낮추겠다는 무관세 수입(할당관세 적용)은 이렇다 할 효과는 내지 못한 채, 축산농가들의 마음에 깊은 상처만 남겼다. 
가축질병, 이상기후 등으로 생산기반은 황폐해진데다, 경쟁 입찰 전환이 예고된 군 급식은 외국산 축산물로의 대체가 가시화됐다. 기타 축종들은 제대로 된 목소리 한 번 내지 못하고 무관심으로 방치되면서 더부살이 신세다. 이뿐이랴. 축산업을 든든히 지원하고 지지해줘야 할 농식품부는 대체 단백질을 비롯한 푸드테크 육성에 강한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그런데도 축산농가들은 묵묵히 인내하며 본업에 충실하고 있다. 서운한 감정이 들 만도 한데 미련스러울 정도로 우직하다. 그래도 자신들을 믿어주고 도와주는 곳은 ‘농식품부’라 여긴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러한 축산농가의 믿음이 허상일 때가 많다. 정부 지원정책에서 후 순위로 밀렸고, 갈수록 강화되는 규제로 축산업은 지속가능성이 염려되는 산업으로 전락했다. 정부와 지자체는 번갈아 가며 축산농가를 압박하며 선택을 강요한다. 이제 참다못해 우리 좀 봐달라고 소리라도 내면 돌아오는 것은 더욱 강력하고 촘촘해진 규제와 과태료 폭탄이다.
지금은 축산농가 혼자선 도저히 벗어날 수 없는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지금의 생존권이 보장되지 않으면 미래의 축산업은 없다. 생존권 보장은 어렵고 거창한 게 아니다. 살아갈 수 있는 최소한의 길 마련이다. 축산농가만의 문제라고 가벼이 예단하지 말고, 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부터가 시작이다. 더 늦기 전에 그 첫걸음을 정부가 서둘러야 한다.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는 것은 너무나 마땅한 바람이며 당연한 권리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