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고기업계, 공정위 ‘칼날’ 쑥대밭

통상적 수급조절 담합 규정
과태료 폭탄 존폐위기 몰려
화물연대 파업까지 2중고에
자조금 정상화 그나마 숨통

‘양계협회 채란분과위’ 탈퇴
산란계협회 결성 이슈 부각
무리한 계란공판장 도입에
선별포장업 기준 다시 논란

축산 생존권 사수 총 궐기대회에서 ‘사·료·값’ , ‘무·관·세’ 얼음을 박살 내는 퍼포먼스를 진행하고 있다.
가금생산자단체장들이 공정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가금산업에 대한 조사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2022년 임인년은 양계업계에 있어 단군 이래 최악의 해가 아니었나 싶다. 닭고기는 ‘공정위’, 계란은 ‘산란계협회’로 압축할 수 있겠다. 
먼저 닭고기업계는 지난 2017년부터 이어져 온 공정위의 칼날에 쑥대밭이 됐다. 종계와 삼계사에 과징금을 부과한데 이어 올해는 육계 16개사에 1758억2300만 원, 토종닭 9개사에 5억9500만 원을 부과했다. 
급기야 공정위의 칼끝은 가금단체로까지 향했다. 육계협회에 과징금 총 12억100만 원을, 토종닭협회에는 1억400만 원을 부과함에 따라 닭고기산업 전체가 존폐의 위기에 놓였다.
화물연대의 파업도 닭고기업계를 힘들게 한 요인이다. 화물연대 일부 지부가 지난 7월 집단운송 거부를 강행해 사육농가들은 출하지연과 사료공급 중단으로, 계열업체는 공장가동 중단으로 인해 수백억 원의 피해를 입었다. 게다가 지난달 24일 또다시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해 가금농가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고무적인 점은 자조금 납부 중단과 관련 단체의 불협화음으로 최대 위기에 직면했던 닭고기자조금의 정상화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점이다. 자조금사무국과 육계사육농가협의회는 9월 1일 닭고기 도계분부터 자조금 납부를 재개키로 전격 합의했다. 
12월 현재 자조금 거출이 진행 중으로 닭고기자조금 정상화에 한발 다가섰다는 평이다.
또한 육계협회는 ‘국내산 닭고기 품질인증제’를 국내 최초로 도입하고, 동우팜투테이블과 하림을 ‘품질보증마크’ 사용업체로 지정키도 했다.
채란업계의 가장 큰 화두는 ‘산란계협회’였다. 양계협회 채란분과위원회가 탈퇴를 선언하고 가칭 ‘대한산란계협회’를 결성한 것. 하지만 기대와 달리 일각에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양계협회가 엄연히 존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유사단체 설립으로 인해 대표성 상실과 힘의 분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계란가격 투명화 및 후장기 거래방식 개선을 위해 정부가 추진한 ‘계란공판장’ 도입도 거센 반발을 낳았다. 거래가격의 대표성 문제와 함께 사업주체인 공판장과 농장 모두 정부가 제대로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단 하고 보잔 식으로 무리하게 추진해 밀어붙이기 정책이라는 비판이 일었다.
‘농장 내 식용란선별포장업’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금 재점화되기도 했다. 농장 내 선포업장의 기준 잣대를 외부 선포업장과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지만, 일각에선 위치와 관계없이 동일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팽팽히 맞섰다.
소모성질병 다발에 따른 계란가격 상승도 빼놓을 수 없는 이슈다. 산란에 가담하는 6개월 이상의 신계군에서 IB, aMPV, 계두, 저병원성 AI 등의 소모성 질병이 다발해 산란율이 대폭 하락했다. 
이에 올해 계란가격은 약세를 이어갈 것이란 기존 예상을 뒤엎고 강보합세를 이어갔다.
코로나19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사료값 상승과 유류비 인상, 기타 원자재값 상승도 산란계농가들을 울상 짓게 한 요인 중 하나였다. 또 한국 양계산업을 이끌어온 오봉국 명예교수, 류경선 교수와 이홍재 양계협회장이 별세키도 했다.
임인년은 지난달 19일 경북 예천 종오리농가가 H5N1형 고병원성 AI로 첫 확진을 받은 이래 지역과 축종을 가리지 않고 다발하고 있어 AI로 마무리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