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주식(主食)’ 자리 확고히

산업 규모 해마다 확대일로
농업생산액 중 쌀 다음으로
그럼에도 육성·보호는 뒷전
무관세 수입 전체농가 공분

공급량 늘어 가격 하락 우려
사료 등 생산비용 급상승에
중·하위 농가는 팔수록 손해
내년 고난 심화 대책이 절실

 

[축산경제신문 한정희 기자] 국민대표 먹거리 돼지고기 관련 산업 규모가 매년 확대되고 있다. 돼지는 농업 생산액 중 1위인 쌀 다음으로 2위를 유지, 주식(主食)의 자리를 확고히 했다. 
그러나 정작 이를 생산하는 한돈농가는 배합사료 가격을 포함한 자재비·전기요금·이자비용·인건비·분뇨처리비 등 각종 비용 상승이란 악재 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돼지고기 공급량(사육·수입)까지 늘면서 가격 하락 우려 속에 하루하루를 버텨내고 있다.
대한한돈협회가 추산한 결과 한돈농장 손익분기점은 MSY 20마리(3분기 기준)로 나타났다. 농가 전체의 30% 내외만이 이 같은 성적임을 생각하면, 나머지 70%는 출하할수록 손해를 보고는 상황이된다. 돼지가격이 오른 것보다 각종 비용 급등 폭이 훨씬 크기 때문에 한계 농가들이 생겨났다. 
정부는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외국산 축산물에 대한 무관세 지원 계획을 발표해 한돈을 비롯한 전체 축산농가의 공분을 샀다. 농가들은 당시 “물가안정 명목으로 축산물의 무관세 수입에 최소 2000억원에 달하는 세금을 유통업체에 지원한 반면, 축산농가에는 각종 환경 규제를 더 하고 있다. 축산농가를 살릴 근본 대책을 마련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무관세 수입은 진행됐다.
지난 11월 9일에는 산업 발전의 새로운 구심체 역할을 할 한돈협회 청년분과위원회가 발족식을 갖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참여 자격은 농장을 직접 경영하거나 근무 중인 만 18세~만 50세 이하의 한돈인이다. 
정부는 올해도 야생멧돼지 확산 방지보다 한돈농가에 대한 방역 강화만을 강조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ASF 야생멧돼지 개체수가 늘었고 남하도 계속되고 있다. 한돈농장에서 간헐적으로 ASF가 발생하며 방역당국과 농가 모두를 긴장시켰다. 
한돈협회의 반대 노력에도 불구하고 7개 방역시설을 의무 설치해야 하는 상황이다. 미설치시 행정처분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한돈협회는 11월 한 달 동안 강원도를 시작으로 도별 순회 간담회를 통해, 협회 주요 추진 활동 보고와 함께 내년 업무 계획, 현장 의견 수렴 등을 실시하는 등 소통을 한층 강화했다.
돼지고기 공급량(생산량+수입량)은 무관세 물량이 추가되면서 평년 대비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도축 마릿수는 1845만마리 내외로 평년 1775만마리 대비 70만마리 가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돼지고기 수입은 지난해 물량(33만톤)을 이미 넘어 40만톤(1~11월 누계)을 넘겼다. 2019년 수입량(42만톤)을 초과해, 사상 최고 수입량을 기록한 2018년 46만톤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입량 증가 이유는 한돈의 가격 상승, 정부의 무관세 정책, EU산 수입단가 하락 등으로 분석된다. 
다수 전문가들은 내년에 더욱 힘든 시간이 될 것이라 예측한다. 무관세 수입량이 돼지가격 하락을 촉발할 수 있고, ASF로 수입이 금지됐던 독일산 돼지고기의 수입 재개도 예상된다. 이들은 “정부는 식량안보 차원에서 축산 정책 기조를 진흥으로 바꿔야 한다”며 “급변하는 축산환경에 따른 한돈산업 생존전략 및 농가 경영안정 방안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한다.
한편 1~11월 28일(누계) 지육 가격(제주 제외)은 평균 5214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669원보다 11.7%(545원 차이) 높은 가격이다. 내년 지육 가격은 올해보다 낮은 kg당 5000~5200원에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