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국열 기자] 변한 거 없이 굼뜨다. 최근 농식품부가 내놓은 꿀벌 실종 대책이 이렇다. 
피해 회복이 전무했던 몇 개월 전 대응과 판에 박은 듯 똑같은 모습이다. 올해 초에 이어 다시 전국에서 꿀벌 실종이 폭주하고 있는데도 그대로다. 양봉농가들은 일단 버티라는 것인지, 책임지는 농식품부의 역할은 보이지 않는다. 적극적인 방제만을 요구하고 있다.   
꿀벌 실종 대책의 주된 골자는 꿀벌응애 방제다. 내성이 생긴 꿀벌응애 방제를 제때 제대로 못한 양봉농가들의 부주의에 초점을 맞췄다. 또 올해 벌꿀 작황이 양호하니 피해를 회복했다는 결론이다. 
꿀벌응애가 꿀벌 실종의 원인으로 상당부분 작용한 것은 맞다. 민관합동조사에서 피해농가마다 꿀벌응애가 발견된 것을 보면 합리적인 추론이다. 올해 벌꿀 생산량도 지난해와 비교해 늘어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초점을 양봉농가가 아닌 농식품부에게 맞추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농식품부는 꿀벌이 사라지는 것을 한 차례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원인이라고 지목한 꿀벌응애를 방제할 수 있는 약제를 제때 제대로 보급하지 못했다. 
안일한 농식품부의 대처가 2차 꿀벌 실종의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이유다. 벌꿀 작황도 지난해 흉작에 비해 늘어난 평년 수준이다. 실상을 들여다보면 수많은 양봉농가들은 채밀을 전혀 못했고, 쏠림현상이 빚어낸 빈익빈부익부에 불과하다. 현장에서는 여전히 양봉농가들의 아우성이 끊이지 않고 있다.  
꿀벌 실종은 양봉농가와 양봉산업에만 국한된 제한적인 문제가 아니다. 국가 재난이다. 
지구촌 곳곳에서 꿀벌이 급속도로 사라지는 현상에 전 세계는 인류생존과 직결된 심각한 사안으로 인식하고 있다. 꿀벌을 보호하고, 양봉농가 피해를 회복할 수 있는 직접적인 지원대책 등 국가 차원의 긴급처방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뒷북치는 대책은 의미가 없다.
꿀벌 사라지는 현상이 매년 일어날 수 있다는 경고가 현실이 됐다. 양봉농가들이 각자도생하길 원하는 게 아니라면 지금 이렇게 손 놓고 있을 때가 아니다. 
양봉농가들은 절실하다. 꿀벌 보호에 집중하는 든든한 농식품부의 역할을 보고 싶어 한다. 이제는 나서야 할 시간이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