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피해 최소화에도
자부담 높아 정착 애로
지자체 예산 마련 필요

 

[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가축질병치료보험의 정착을 위해 지방비 지원이 절실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소 질병 피해 최소화 및 자가 치료 감소 등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농가 자부담 비율이 높아 제도 정착에 애로가 있기 때문이다.

지난 8일 대전 KT 인재개발원에서 개최된 ‘2022 한국소임상수의사회 임상 컨퍼런스’에서 정삼용 협성동물병원 원장은 ‘가축질병 공제제도 도입사례 및 대책’ 주제발표를 통해 가축질병치료보험은 가입농장의 호응이 높고 농가와 수의사가 상생할 수 있는 제도로 평가받고 있다고 밝혔다.

가축질병치료보험은 질병·상해·진단 등으로 인한 소 진료비의 일부를 보상하는 제도다. 지난 2018년부터 시범사업을 실시, 현재 12개 시·군이 적용 중이다.

정삼용 원장은 “청주시의 경우 전체 1000농가 중 210농가가 질병보험에 참여하고 있다”며 “기존 가입농가의 대부분이 재가입하는 등 농가 만족도가 높다”고 말했다.

동물병원 역시 질병보험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정 원장이 청주시 소재 대동물병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동물병원과 농가의 절반 이상이 질병보험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동물병원은 빠른 질병치료, 진료비부담 경감, 자가치료 감소, 진료건수 증가를 이유로 꼽았고, 농가는 소 폐사율 감소, 진료비 부담 감소, 약물오남용 감소를 이유로 들었다.

그러나 보장항목 부족과 높은 자부담 비율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지적됐다.

정 원장은 “보험에 가입했는데 보장되지 않는 질병도 있어 이에 대한 농가 불만도 제기되고 있다”면서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농가 부담이 커 가입을 꺼리는 경우도 많은 만큼 자부담 비율 경감을 위한 지자체 예산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류일선 한국소임상수의사회장도 “질병보험은 수의사의 진료로 약품비 절감과 함께 폐사율 감소를 통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한다”면서 “농가와 동물병원 모두 윈윈 할 수 있는 제도임이 입증된 만큼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시범사업 확대와 함께 예산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컨퍼런스에선 공로패 시상과 함께 차기 회장 선거도 진행됐다.

△임영철 전 회장 △이한경 전 총무이사 △권순균 전 총무이사 △정재관 전 재무이사 △이호선 전 학술위원장이 공로패를 받았고, 한국소임상수의사회 차기 회장에는 김용선 명동물병원 원장이 선출됐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