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한정희 기자] ASF가 9월 28일과 29일 이틀 동안 경기도 김포와 파주 양돈장에서 발생했다. 이들 양돈장은 과거 ASF 확산 방지를 위해 예방적 살처분을 시행한 이후 8대 방역 시설을 갖추는 등 오랜 기간 준비 끝에 지난 3~5월 사이에 재입식을 완료했다. 양돈장 정상화에 집중해야 할 시기에 ASF가 발생해 주위를 안타깝게 했다. 힘든 시간을 견뎠는데 또다시 악몽의 상황에 놓이게 됐다. 
비슷한 시기 평택 양돈장에서도 ASF 발생 소식이 전해졌다. 김포 확진 이후 실시한 전화 예찰 과정에서 의심농장으로 분류됐는데, 정밀검사 결과 양성 판정을 받았다. 방역당국과 한돈농가들은 “결국 평택까지 내려왔구나”라며 긴장했다. ASF가 충청도로 내려가는 것은 이제 시간 문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재검사 결과 뜻밖에 음성 판정이 나왔고 한돈업계 관계자들은 안도하며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다. 
결국 이번 일로 정부의 ASF 검사에 대한 신뢰는 바닥에 떨어졌다. 농식품부는 보도자료에서 ‘실험 기자재 오염’ 등이 의심되어 재검사를 실시한 결과 음성이 나왔다고 해명했다. 이는 지금까지 ‘실험 기자재 오염’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이유로 음성인데 양성 판정을 받은 사례가 있을 수 있을 것이라는 합리적인 의심을 하게 만들었다. 이후 ‘ASF 확진 번복’을 둘러싸고 옥신각신 말이 한창이다. 
이번 사례는 ASF만의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 축산농가들은 이제 구제역·고병원성AI 등 해외악성가축전염병에 대해 양성 판정을 받으면 가능한 재검을 요청할 것이다. 이는 신속한 가축전염병 방역에 걸림돌로, 재검 결과가 나올 때까지 살처분은 보류되고 장비와 인력은 대기 상태로 있어야 한다. 정부는 원활한 방역과 신뢰 회복을 위한 대책을 신속하게 내놔야 한다. 
고병원성AI 발생시 정부는 위험도에 비례해 500m 이내는 가금류 전 축종을, 500m~3km까지는 동일 축종을 살처분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내 농장에서 고병원성AI 양성 판정을 받으면 반경 500m 이내 다른 가금농장은 예방적 살처분 대상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농가들은 정밀검사 결과 양성이 나오면 ‘실험 기자재 오염’ 때문은 아닌지 재검을 의뢰하려 할 것이다. 만에 하나 재검에서 음성이 나오면 고병원성AI 발생농장이란 오명도 벗고, 이웃농장의 예방적 살처분도 막을 수 있다. 한 산란계 농장 대표는 “내 농장뿐만 아니라 주변 농가들까지 예방적 살처분을 당해야 하는 사실은 견디기 힘든 일”이라며 “양성 판정시 반드시 재검을 받아야 할 이유가 분명하다”고 말했다.
다시 강조하지만, 정부는 가축전염병 검사에 대한 신뢰를 빠르게 회복해야 한다. 한가지 대안으로 ASF·구제역·고병원성AI 등 살처분이 필수인 해외악성가축전염병 검사를 할 때는 반드시 시료를 2개 준비해, 한 개는 지역에서 신속하게 검사하고 다른 한 개는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차점검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번 ASF 확진 번복 사례와 관련해 정부 관계자를 비난할 일은 아니라는 의견도 나온다. 어찌 됐든 재검 결정은 용기와 결단이 필요한 일이라고 해석했다. 이번 일로 가축전염병 검사 시스템에 대한 신뢰는 바닥에 떨어졌지만, 누군가의 용기 있는 결정으로 억울한 농가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들은 이번 사례가 긍정적인 변화의 시작점이 되어 가축전염병 판정에 대한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것이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