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권민 기자] 코로나 팬데믹이 유럽과 미국 등을 휩쓸던 초기에 그 국가들 대부분이 마스크와 소독제를 구하지 못해 혼란을 겪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궁금해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값싼 마스크조차 구할 수 없어 전전긍긍하면서 어떻게 선진국이라고 자부할 수 있었을까?
세계 경제 대국들의 한결같은 이런 모습들이 세계화의 결과라는 사실을 알고 나면, 그동안 다국적 대기업들이 입에 침이 마르듯 칭송했던 ‘글로벌화’라는 슬로건에 심취했던 것이 얼마나 허무맹랑했던가에 놀라게 된다.  

 

축산업 죽이기 시도


지금 우리가 누리는 자본주의사회에서 자신의 상품을 팔아 이윤을 얻는 것을 최상의 목표로 하는 이런 초국적 기업들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케팅 전략이라는 수단을 내세워 경쟁사를 험담하고, 자사의 제품을 과장하는 동시에 온갖 현상을 왜곡한다.
더럽고 힘든 일들과 쓰레기 등 환경 오염물질은 모두 개발도상국들에게 떠넘기고 자신들은 풍요를 누리면서 자신들이 생산하는 제품은 마치 환경친화적인 것처럼 포장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잠재의식을 파고든다. 
다국적 초국적 식품가공업체들이 한창 생산에 열을 올리거나 또 출시를 준비하고 있는 ‘대체식품’만 해도 그렇다. 자신들의 이윤을 위해 먼저 실제 가축을 사육하면서 단백질을 공급하는 경쟁산업인 ‘축산업 죽이기’가 시도되고 있다. 
환경보호론자들을 앞세워 축산업이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점을 부각하고, 동물애호단체들을 부추겨 축산농가들이 동물을 학대하고 있다는 사실을 과장하고, 기후 위기론자들의 우려에 편승해 축산업이 기후 위기의 주범인 듯이 왜곡시킨다. 
그렇게 분위기가 조성되면 이제 그 모든 악습이 없이도 단백질을 공급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며 슬쩍 대체식품을 끼워넣는다. 소비자들이 이런 고도의 마케팅 속에 한 번 빠지면 헤어나올 수 없다. 
‘네덜란드의 오류’라는 말이 있다. 선진국들은 환경오염을 줄이면서 경제 성장을 이뤘다고 하는데 그것은 잘못된 주장이라는 뜻이다. 선진국들이 환경오염이 개선된 것은 단순히 기술 발전에 의한 결과물이 아니며, 자원 채굴과 쓰레기 처리 등 경제 발전에 따라오게 마련인 부정적 영향의 적지 않은 부분을 개발도상국이라는 외부에 떠넘긴 결과에 지나지 않는다. 그것을 잘못 판단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국적 초식품가공업체들이 대체식품에 대체가공식품이라는 ‘가공’이라는 말을 쓰지 않고 굳이 ‘고기 육(肉)’을 쓰고 싶어하는 이유도, ‘가공’이라는 단어에 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 이미지를 피해가고 싶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은 자신들이 상술에 얼마나 많이 놀아나고 있는지 잘모른다. 그리고 다국적 기업들은  또 소비자들이 진실에 대해 잘 몰라야 이익이다. 그래서 축산물 대신에 대체식품을 구입하면 환경을 지키고, 동물 보호에 일조하고 있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 
깊은 생각을 하기가 습관화되어 있지 않은 현대인들의 심리는, 다국적 기업들에게 좋은 먹이감이 된다. 그들의 화려한 선전과 선동에 빠지면 자신의 소비가 마치 윤리적 소비를 하고 있는 착각에 빠진다. 

 

윤리적으로 생각을


초국적 식품가공업체들은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대체식품이 소비자 앞에까지 오게 되는지 그 세부적 상황을 소비자에게 알리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대체식품을 구입하면서 환경 개선을 위한 소비를 했다는 착각에 빠진다. 불편한 진실을 알려고 하지 않는다. 
기술이 발전하면 소를 방목지에서 키우지 않고도 공장에서 단백질을 생산할 수 있다고 믿으며, 그렇게 생산되는 단백질은 오히려 안전하고 위생적이라고 단정한다. 모든 변수를 예측하면서 조정할 수 있을 것이라는 착각에서다. 
소비자의 입장에서 진정으로 윤리적 소비를 원한다면 윤리적으로 생각할 줄 알아야 한다. 갈수록 전력 소모가 적은 텔레비전이 출시되고 있는데 그것을 사면서 더 큰 텔레비전을 사면 그게 전력 소비를 아끼는 일일까?
SUV 같은 대형 자동차 판매가 늘어나는 현재의 상황 속에서 자동차 연비가 향상된다고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일까? 신기술 덕분에 효율성이 올라가 상대적으로 탄소 배출이 줄었다고 해도 소비량이 그만큼 더 증가해 효율화 효과가 상쇄되면 결국 제자리일 뿐이다. 
윤리적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은 그 제품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어떤 과정을 거쳐 식품 매대에 진열되어 있는지까지 곰곰이 따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실제 그것이 안전한지 위생적인 과정을 거쳤는지 출시될 때까지 정부의 관계당국이 철저한 검사를 했는지도 적극적으로 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 당국은 기술 발전이라는 막연한 사실에만 의지해 초국적 식품가공업체 자체 검수만으로 시중에 돌아다니는 가공식품을 허용해서는 안된다. 
이러한 가공식품을 소비자들의 윤리의식에만 맡기는 것은 정부의 할 일이 아니다. 오히려 소비자들이 초국적 식품가공업체들의 상술에 빠지지 않고 윤리적 소비가 보편화될 수 있도록 정부가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하는 것이 마땅한 일이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