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국열 기자] 올해도 어김없이 오리농가 겨울철 사육제한이 시행된다.
매년 이맘때 전국의 30% 이상 오리 입식을 금지하는 게 이제는 아무렇지도 않게 너무나 당연하다.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AI와 최근 유럽·아시아 야생조류에서 급증하고 있는 AI 발생은 방역 강화의 당위성이 요구된다지만 오리농가의 현실은 참담하다.
반복되는 수급불균형은 농가소득 감소를 초래했고, 가축전염병 예방법이 불러온 규제는 오리 산업의 숨통을 조이고 있다.
오리고기 냉동재고가 바닥난 상황에서 내달부터 겨울철 사육제한이 시행되면 또 다시 생산량이 부족해지면서 수급불균형이 뻔히 예상된다. 악순환이 돌고 돈다.
빚진 죄인마냥 혹시나 AI 발생의 원흉으로 보일까 농가들은 전전긍긍할 수밖에 없는데다 터무니없는 보상단가는 오리농가의 무조건적인 희생만 강요하고 있다. 
그간 오리 산업 종사자들은 겨울철 사육제한이 오리농가의 피해만 불러오는 반쪽짜리 방역대책이라며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해왔다. 
이번에도 오리농가 겨울철 사육제한 지침을 내심 기대했건만 달라진 건 없다. 
희망 농가를 대상으로 신청을 받던 겨울철 사육제한이 올해부턴 정부가 발생위험이 높은 농가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지금껏 농가들이 겨울철 사육제한을 지자체에 자발적으로 신청했다는 것인데, 어떤 농가가 4~5개월간 사육을 포기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그 이면엔 지자체의 곱지 않은 시선을 계열업체와 농가가 견디기엔 부담스러웠던 게 아니었을까. 업어 치나 메치나, 그 밥에 그 나물이다. 결국 말장난이나 다름없다. 
오히려 지자체를 벗어나 정부가 적극 개입하면서 오리농가 겨울철 사육제한이 더욱 공고히 굳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고병원성 AI 발생 위험이 고조되는 현 시점에 방역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허나 농가에 겨울철 사육제한을 강제하기에 앞서 오리 산업 종사자들이 끊임없이 요구하는 오리농가 사육·방역시설 개편에 정부와 지자체는 귀를 열고 답해야 한다.  
AI의 가장 큰 피해자는 정부도 지자체도 아닌 오리농가 당사자임을 잊어선 안 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