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고병원성 AI가 사실상 종식됐지만 계란가격은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19일 현재 계란가격은 양계협회 수도권 가격 기준 왕란 196원, 특란 180원, 대란 165원, 중란 154원, 소란 137원이다. 소비자가격 역시 판당 8000~9000원으로 여전히 비싼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4월 이동제한이 해제된 농가에 산란계 병아리가 재입식되고 있어 성장기간을 고려할 때 산란계 사육마릿수는 6월 중 평년 수준을 회복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정부의 예상이 보기 좋게 빗나간 셈이다.
고병원성 AI로 계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갔던 일은 비단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6~2017년 AI 발생 당시에도 계란 한판 가격은 1만 원을 호가했고 결국 미국산 계란과 태국산 계란이 난생처음 한국 땅을 밟았다.
이를 경험했던 양계단체들은 과거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과도한 살처분을 자제해달라고 정부에 수차례 건의했지만 귀담아 듣지 않았다. 
또 차단방역 만을 강조해 가금농장에 백신접종팀 출입을 제한한 결과 면역력 저하로 계란 생산성이 크게 떨어져 가격상승을 부추겼다. 
계란가격이 폭등하자 농가와 유통업체에 ‘계란가격을 담합할 경우 처벌받을 수 있다’는 공문을 보내 가격을 내리라는 압력을 행사키도 했다.
정책 실패로 발등에 불이 떨어지자 정부가 생각해낸 잔꾀는 계란 수입이었다. 상반기에만 약 500억 원의 혈세를 계란 수입에 쏟아부은 것도 모자라 추석 전까지 2억 개의 계란을 추가 수입한다고 밝혀 공분을 사고 있다.
모두가 알다시피 생산량이 적어 치솟은 가격을 내리는 방법은 계란 생산기반을 정상화하는 것이다. 정부가 계란 수입 대신 병아리나 중추 입식비를 지원해줬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지금이라도 정부는 계란 수입으로 재정을 낭비하지 말고 살처분 농가들의 재입식 비용을 지원해 국내 계란산업 정상화에 적극 나서주길 바란다.
언 발에 오줌 누기식 단기처방은 반짝 효과만 낼뿐 근본적인 대책은 아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