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혜진 기자] 낙농 제도 개선 방안을 두고 낙농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한쪽에 치우친 정부의 중재안에 대해 생산자단체인 낙농육우협회가 제도개선 소위에 불참을 선언하면서 촉발된 갈등이 상호 비방에 이르면서 점입가경이다. 
지난 6일 유가공협회가 먼저 성명을 발표한 데 이어 낙농육우협회가 이에 대응 성명을 발표하면서 긴장감이 맴돌고 있다. 낙농육우협회보다 하루 앞서 성명을 발표한 유가공협회는 성명에서 생산자들의 무책임한 행동을 더 이상 묵과 할수 없으며, 유업계의 어려운 상황에 지속적인 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조속한 낙농제도개선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선진국보다 최대 3배까지 높은 원유 수취가격을 받고 있다면서 현행 원유 기본가격 결정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원유 과잉으로 인한 할인판매와 시설투자 등으로 누적해서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원유가격을 낮춰야 한다는 유업계는 농가들이 이미 가진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논의를 거부하는 것은 무책임한 행동 이라고 비난의 날을 세웠다.  
생산자는 반박 성명을 통해 논의의 목적이 유업체의 경영손실 보전을 위한 원유가격 인하에 맞춰져 있기에 참여할 수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유업체 중심의 논의 구조를 개선해 논의한다면 검토·수용이 가능하다는 생산자단체. 
결국엔 원점으로 돌려 논의를 다시 시작하자는 뜻이나 마찬가지다. 과연 다시 시작한다고 해서 양측이 접점을 찾을 수 있을까. 출발 선상부터 양측의 입창차는 명확했다. 
무조건 낙농 개선을 통해 원가를 낮춰야 한다는 유업계와 계획생산시스템 구축 및 가공유제품 지원정책이 수반된 개선안 논의가 필요하다는 생산자의 대립. 이 가운데 유업계 측에 힘이 실리는 중재안을 내놓은 정부. 이 삼박자가 맞물려 절대 회의 진행이 불가능한 상황이 돼버린 현 상황을 해결할 방법을 찾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이미 양측의 갈등의 골이 깊어진 가운데, 중립의 입장에서야 하는 정부가 한쪽에 치우친 중재안을 내놓은 상황.
생산자측은 역시나 계속해서 한쪽에 편중된 중재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 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며, 유업계는 조속한 논의를 통해 결론 지을 것을 촉구하고 있다. 
유업계는 이번에야말로 반드시 제도개선을 이루겠다는 의지로 자신들이 제시한 방안을 반영해 주지 않으면 연동제를 전면 부인하고, 원유기본가격이 유지방 3.5% 기준생산비와 일치할 때까지 원유 기본가격을 동결하는 한편 올해 인상분인 231원도 반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내년부터 매년 우유 공급 계약량을 10% 감축하면서 쿼터 양도 양수 귀속률을 20%로 조정하고 이후 매년 10%씩 추가 상향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생산자의 보이콧에 유업계가 나름 초강수를 두며 압박을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생산자측이 유업계가 계약관계의 지위를 이용해 낙농가를 겁박하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서면서 갈등만 증폭되는 사태에 이르렀다. 이번 일련의 사태들이 처음 있는 일은 아니다. 그동안 낙농업계와 유업계는 숱한 갈등과 화해를 반복해오면서 피로감을 호소했다. 
이에 생산자와 수요자, 더 이상의 소요 사태가 발생하지 않기 위해 대승적 차원에서 합의로 만들어낸 산물이 원유가격 연동제를 손보기 위해 다시 갈등이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 안타깝기 그지없다. 결국에 원유가격 연동제는 끊어지지 않는 불신의 고리를 안고 돌고 돌아 또다시 원점으로 돌아왔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