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농축산업계의 인력부족 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이제 외국인노동자들이 없으면 농사를 지을 수 없다는 말이 공공연한 사실일 정도로 우리 농축산업은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이같은 농촌 인력난에 코로나19는 기름을 부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출입국 제한 등의 조치로 외국인노동자 수혈이 끊기며 농촌의 일손공급도 중단된 상태다.
고용노동부가 매년 농축어업 분야에 외국인노동자를 배정하고 있지만 코로나로 인해 실제 입국한 인력은 지난해 14% 수준에 불과하다. 올해 고용허가제를 통해 도입 예정인 외국인 근로자들의 입국 역시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처럼 수급이 달리다 보니 외국인노동자들의 몸값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코로나 전 7~8만 원 수준이던 일당은 지난해 10만 원까지 오른데 이어 올해는 14만 원까지 급등하는 등 말 그대로 ‘부르는게 값’이다. 합법 외국인노동자와 불법 외국노동자 사이의 임금 격차도 이젠 없어진 데다 이마저도 구하기 어려워 외국인노동자 모시기 경쟁이 벌어지는 웃지 못할 헤프닝도  발생하고 있다는게 업계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코로나19 사태를 경험하며 우리는 외국인노동자들에 의존한 노동 형태만으론 지속가능한 농축산업을 영위할 수 없단 사실을 절실히 깨달았다. 
앞으로도 코로나19와 같은 예측 불가능한 상황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 국내의 만성적인 농촌 일손부족 문제를 더 이상 외부인력에만 의존해선 안 된다는 얘기다.
단기적으론 외국인 자가격리 시설 확대, 백신접종자 자가격리 면제 등으로 외국인근로자 입국 인원을 늘려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을 잠재우고, 장기적으론 도시의 유휴인력을 농촌으로 끌어들일 전략적인 방법을 꾀해야 한다. 
지역 내 유휴인력 및 도시민 등 구직자를 상시 모집해 인력이 필요한 농가에 연계해주는 도시형 농촌인력중개센터와 농업분야 긴급인력 파견근로 지원, 지자체 농촌인력지원센터도 좋은 예다. 
지속 가능한 농축산업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 관련 기관이 머리를 맞대고 다각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더 늦으면 대한민국 농촌의 미래는 없다는 것을 명심하자.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