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최근 정부의 행태를 보자면 어이가 없다 못해 황당하기까지 하다. 
계란 수급 대책이 바로 그것이다. 수급안정 대책이라기 보단 수급불안 대책에 가깝다. 
△계란 수매 △계란 20% 할인쿠폰 발행 등의 대책이 계란가격을 끌어올리는 역효과를 내는 등 오히려 계란 유통·거래 질서를 흩트리고 있기 때문이다.
계란이 남아돌 때 수매를 하거나 소비쿠폰을 발행해 소비를 장려하는 것은 지극히 합리적이나, 계란이 부족해 가격이 상승하는 상황이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이치에 전혀 맞지 않는다.
가장 황당한 부분은 계란가격 인상을 부추긴 정부가 계란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는 이유로 외국산 계란 수입을 추진했다는데 있다. 계란 생산기반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강력 주장해오던 정부가 그새 말을 뒤집고 또다시 외국산 계란 수입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하지만 채란업계는 계란 수입에 따른 쓴맛을 이미 맛봤다.
지난 2017년 고병원성 AI 발생 당시에도 정부는 치솟는 계란값을 잡기 위해 미국과 태국 계란을 비행기로 공수해왔다. 
국민의 혈세를 들여 비싸게 들여온 계란들은 소비자들의 외면으로 계란가격 상승 억제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당시 대량으로 수입된 장기간 보관·사용이 가능한 분말 계란 등은 국내 산란계 마릿수가 정상으로 회복된 이후에도 소진되지 못해 3년이라는 긴 불황을 만드는 결정적 원인이 되기도 했다.
게다가 유통업계 역시 외국산 계란 수입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지난달 26일 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미국산 신선란 공매입찰엔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 3사와 파리바게트, 뚜레주르 등 주요 제과업체는 참여하지 않았다. 국산 농산물 유통에 앞장서고 있어 외국산 취급을 꺼릴 수밖에 없는데다 현재 국내 계란물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지 않은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는 정부 대책이 시쳇말로 ‘설레발’이었단 걸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정부는 많은 부작용 우려가 있는 외국산 계란 수입 시동을 여기서 끄길 바란다. 지금 멈추지 않으면 이로 인한 후폭풍은 또다시 양계업계가 감내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