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자조금 법인화가 다시 수면위로 오르면서 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자조금 법인화가 거론된 것은 2009년 이후 10년 만이다. 
자조금 법인화에 대해 생산자단체는 전면 반대 입장을 내세우고 있는 반면, 자조금들은 법인화에 찬성하는 분위기다. 
자조금 법인화를 왜 생산자 단체가 나서 반대하는 것일까. 이유는 최초 자조금 설립이 생산자 단체로부터 시작됐기 때문이다. 2005년 의무자조금 도입으로 거출이 본격화되면서 협회와 자조금이 분리 운영되고 2009년 자조금법 개정안에 자조금 법인화가 포함됐다. 
그러나, 이때도 생산자단체의 강한 반발로 법인화는 무산됐다. 당시 입장은 투명하고 공정한 자금집행을 위해 법인화는 필요한 부분이긴 하나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않다는 이유에서였다. 
이 가운데 10년 만에 지난 6월 말 농식품부 주관으로 열린 축산자조금발전협의회에서 농식품부는 또 자조금 법인화 카드를 꺼냈다.
이날 농식품부는 자조금의 효율적인 운용 관리를 위해 법인화를 하고 자조금 운용 평가 제도를 도입하는 등 관리방안을 수정하자는 내용을 자조금 집행부에 전달했다. 
법인화를 포함한 이 내용가운데 국비지원 축소, 운용평가 도입. 공익성 강화에 따른 예산 전환, 이사 구성 개편 등을 함께 거론하면서 논란이 시작됐다. 
생산자 단체는 농식품부가 법인화를 통해 자조금을 관리하겠다는 일종의 ‘관(官)자조금’으로 전환시키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이면서 반대하고 나섰다.  
그러나 사무국의 행정적인 부분을 고려하면 법인화는 필요한 부분이다. 현재 자조금은 비영리 단체의 형태로 모든 자산 취득 및 신고·업무가 대표자 개인 명의로 이뤄지고 있다. 만약 대표자가 변경된다면 자산취득에 관한 서류 및 소유자를 변경해야만 한다. 법인화가 되면 이러한 행정적인 불편함을 다 해소할 수 있다. 무조건적으로 반대 할 수만은 없는 입장이다. 
다수의 자조금들이 정부가 자금집행에 관여하는 것은 반대하지만 법인화 부분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다. 자조금 법인화 과연 득일까 실일까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