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한 마리가 1000만원이 넘는데 30% 이상이 폐기물입니다. 이게 대체 말이나 되는 일입니까.”
서울 마장동 축산물시장의 한 한우육가공업체 관계자의 하소연이다.
그는 한우 해체 작업시 지방이 너무 많이 나와 손해가 크다며 강한 불만을 토해냈다. 이어 버려야 할 폐지방만 30% 이상이라며, 이같은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고도 토로했다.
이유는 무엇일까.
육가공업체 관계들은 그 원인으로 지난해 12월 개정된 소고기 등급제를 꼽았다.
개정된 소고기 등급제는 근내지방도 기준 완화가 주요골자로, 1++등급의 근내지방도는 기존 근내지방도(BMS) No. 8, 9에서 No. 7, 8, 9로 1+등급은 No. 6, 7에서 No. 6으로 하향됐다. 
등급별 근내지방도 기준을 완화해 출하월령을 단축시킴으로써 사육농가의 경영비를 낮추겠다는 것. 또한 소비자 관심정보 제공 확대로 알 권리를 충족시켜 구매시 합리적 소고기 선택을 유도함에 따라 연간 최대 707억원의 가격인하 효과가 있을거라는게 축평원의 판단이었다. 
하지만 마블링을 낮추기 위한 본 취지와 달리 소고기 등급제는 한우가격 상승의 요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지방이 많이 나올 경우 이를 살코기 값에 보탤 수밖에 없으며, 이는 곧 소비자가격 상승으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실제 1++ 및 1+등급의 근내지방도를 하향 조정한 결과 1+등급이 절반 이상 줄어들며 한우가격 상승으로 이어졌으며, 이로 인해 소비자 부담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소고기의 품질 면에서도 등급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떨어진 상태다.
아울러 가공업체 입장에서도 고기 중량이 30% 이상 덜 나와 손해가 큰 실정이다.
생산자 역시 가격상승이 지금 당장 도움이 될진 모르지만, 장기적으론 산업 전반에 나쁜 독이 될 가능성이 크다. 소고기 가격이 오르면 송아지 가격도 오르지만, 소비는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것.
때문에 누구 하나 이익 보는 이 없이 손해만 발생하고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정부는 소고기 등급제를 서둘러 개편해야 한다.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