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에선 수렵인 총동원령
매년 75% 이상 감축 설정
체계적 포획방안 마련해야

 

정부가 ASF 확산 방지를 위해 설치한 최종 방어선인 광역울타리가 야생멧돼지에 의해 뚫린 가운데, 대한한돈협회가 ASF 확산 방지 방안 대책을 마련해 지난 14일 환경부에 긴급 건의했다.
고속도로를 활용해 울타리를 설치하고, 발생·완충·경계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야생멧돼지 포획, 광역 수렵장 확대, 야생멧돼지 3년간 75% 이상 개체수 조절 등의 내용이 골자다.
한돈협회는 현재 광역울타리가 △부실설치 △넓은 미설치 구간 존재 △언덕 구간 등으로 인해 야생멧돼지 남하 방지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고속도로를 활용한 울타리 설치 방안을 내놓았다.
야생멧돼지의 CSF(돼지열병) 확산이 고속도로를 경계로 남하가 지연되고, 동쪽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인 것에 착안했다. 고속도로를 경계로 야생멧돼지 이동지연 및 포획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ASF 감염 야생멧돼지 남하 방지를 위해 방역 구역을 3개 지역(발생·완충·경계)으로 설정, 체계적인 야생멧돼지 포획 방안도 제시했다. 계획안을 살펴보면 ASF 발생지역(파주·연천·철원·화천)과 완충지역(서울양양고속도로 북쪽)은 야생멧돼지 제로화, 경계지역(서울양양~영동고속도로 사이)은 야생멧돼지 75% 제거를 통해 ASF 남하를 저지한다. 남하방지를 위해 경계지역 소탕 후 완충지역에서 발생지역으로 야생멧돼지를 몰아가는 방식도 추가했다.
전문 수렵인의 대대적인 투입 및 광역 수렵장 확대 개설 필요성도 강조했다. 독일 등 해외에서는 ASF 발생시 수렵인 총동원령을 제도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국에서 수렵인 5000여명을 긴급 투입해 경계지역부터 완충·발생지역 순으로 야생멧돼지를 소탕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야생멧돼지 개체수를 3년간 75% 이상 저감 방안을 강조했다. 강원대 박선일 교수가 야생멧돼지 개체수 감소 전략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개체수를 3년 이상 매년 75% 이상 줄이지 않으면 감소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부는 광역울타리 밖에서 ASF 감염 야생멧돼지가 발견됨에 따라 3단계 광역울타리 구간 중 자연 경계를 최소화해 보완하고, 양구 남북 종단울타리 2개 노선과 화천 지역 광역울타리 미설치 구간 중 마을지구 59개소에 대한 우회 울타리를 설치키로 했다. 폐사체 수색, 총기포획에 대한 구역별·일정별 인력 투입 계획 등 대책도 마련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