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호 음성축협조합장

 
축산업은 농업생산액 중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년 경쟁력이 있는 업종으로 농촌경제에 버팀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최근 국가균형발전이라는 명목으로 농업생산 시설인 축사에 연접을 적용하고 있으며 특히 건축행위로 유발되는 기반시설의 시설 정비 또는 개량행위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년 7월 12일부터 부담금 산정기준을 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그런데 기반시설 부담금을 농업생산시설인 축사에도 납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 묻고 싶다. 이에 대하여 부정적인 의견을 몇 가지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UR, WTO, DDA, FTA 등이 우리 농업분야에 많은 어려움과 문제점을 안고 있는 현실 속에서 농업경쟁력을 떨어트리는 기반 시설 부담금 징수는 명분이 없다.
둘째 축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자연순환형 농업실현으로 안정적인 사육기반 확충을 위하여 축사도 농업용 시설로 분류하여 농지 전용 없이 축사시설이 용이하도록 농지법을 개정 중에 있는 마당에 부담금 부과는 설득력이 없다.
셋째 축사는 많은 건축면적을 필요로 하는 시설로 기초공제면적 200㎡(60평) 적용은 이해하기 어렵다. 예를 들면 도시지역이외의 지역에서 주택 60평 이상을 건축하는 국민은 거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일률적으로 기초공제면적을 적용한다면 기반시설부담금은 고스란히 농업시설인 축산농가만 부담하게 된다.
이런 상황 속에서 기반시설 부담금을 실정에 맞지 않게 물려 필요한 재원을 확보한다면 왜곡된 정책이 될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기반시설부담금과 관련된 부처와 정책입안자간에 긴밀히 협의하여 농업에 종사하는 축산농가에 희망이 되어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