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값 대기도 벅찹니다. 이 위기를 어떻게 버텨야 할지 막막합니다.”
전남 곡성에서 염소를 사육하는 A씨. 그는 염소만 생각하면 눈앞이 깜깜하다고 토로했다. 가장 큰 이유는 돈이 돌지 않아서다.
가격이 바닥인건 둘째 치고, 매매가 돼야 돈을 마련하는데 거래가 이뤄지지 않으니 당최 사료값을 감당할 재간이 없다는 것이다.
그는 “이같은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농가들을 산에다 염소를 풀어 야생화 시키는 일이 발생할 것”이라며 “염소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될 우려가 높다”고 지적했다.
그의 말처럼 최근 염소업계는 백척간두의 위기에 놓였다. 장기간 이어진 가격폭락의 여파 때문이다.
게다가 정부가 내놓은 정책들은 염소농가들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염소가 FTA 폐업지원 대상에 포함됐는데, 이로 인한 홍수출하와 함께 가격이 더 떨어질 것이란 기대심리에 거래절벽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올 초 12만원이었던 자축 가격은 7월 현재 5만원까지 하락했고, 염소고기 역시 kg당 5000~6000원으로 2000원 이상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염소농가들은 수매 등 적극적인 시장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염소가격이 떨어진데는 정부의 책임이 크다는 것. 때문에 염소가격 지지를 위해 모든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는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들의 말처럼 염소농가가 벼랑 끝에 몰리게 된데는 정부의 잘못이 크다. FTA 체결 후 호주산 염소고기가 물밀듯 들어와 자급률이 반 토막난데다, 시장에서는 수입산을 국내산으로 허위 표시하거나 양고기가 염소고기로 둔갑 판매되는 일도 횡횡한 실정이다.
또한 염소가 소·돼지·닭 등 주요 축종에 비해 정부 정책에서 비중이 작았던 것에 대해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늦었지만 정부는 염소산업의 중장기 대책을 세워 실행에 옮겨야한다.  염소농가들이 주창하는 수매는 물론 암염소 자율도태 등 방안도 함께 꾀해야 한다. 단기적으론 대대적인 소비촉진 홍보활동을 통해 염소고기 소비를 늘리는 것도 좋은 방법으로 사료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