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금산물 가격이 연일 하향세를 이어가고 있다.
계란을 필두로 육계, 오리, 토종닭 모두 바닥에서 탈출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실제 계란가격은 수도권 기준 왕란 54원, 특란 46원, 대란 40원, 중란 32원, 소란 24원으로 생산비인 117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육계와 오리, 토종닭의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다.
육계는 러시아 월드컵을 앞둔 시점에도 불구, 14일 현재 대닭 1100원, 중닭 1200원, 소닭 1300원으로 생산비 이하의 보합세를 이어가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기점으로 소비가 급증하는 오리와 토종닭도 마찬가지.
오리의 경우 12일 현재 생체 5800원, 신선육 7000원, 토치육 7200원으로 지난달 6465원, 7665원, 7865원보다 오히려 더 하락했고, 토종닭 역시 산지 1700원, 산닭 1900원, 도계유통 1990원으로 생산비 2160원보다 낮은 가격이 형성되고 있다.
가장 큰 원인은 지난해 산란계·육계·오리·토종닭 등 모든 가금류가 종계 입식을 늘렸다는데 있다.
종계 입식 증가는 병아리 생산 증가로 이어졌고, 공급과잉으로 인한 가격하락은 당연한 수순이라는 것.
때문에 단순히 생각할 때 이같은 가격하락의 결과는 입식량을 늘린 농가들의 탓으로도 볼 수 있다.
하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여기엔 그만한 이유가 충분하다.
이는 2016~2017년 사상 최악의 고병원성 AI로 국내 가금의 약 1/3이 살처분된데 따른 것.
이로 인해 계란 한판 가격이 1만원을 호가했고, 정부가 가격을 잡기 위해 항공비까지 대줘가며 계란과 종계 수입을 지원한 결과가 이같은 상황으로 귀결됐다는 것이다.
현재 가금산물의 가격폭락 책임에서 정부 역시 자유로울 수 없다.
“가격이 오를 때는 난리법석이던 정부가 가격이 떨어질 땐 나몰라라 한다”고 농가들이 입을 모으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가금업계의 위기 타개를 위해 정부의 실질적 대책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다. 병을 줬으면 약도 주는 것이 마땅하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