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본격적으로 AI 색출 작업에 나섰다. 전남북을 비롯해 충남·경기·제주 지역 야생조류 분변과 육용·종오리에서 바이러스를 검출 해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마음먹고 찾으니 검출 건수가 예상치를 훨씬 넘어섰다. 바이러스의 불규칙한 유입에도 농장 간 수평 전파가 없다는 것은, 예찰 활동이 효과를 보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이들은 “지난 겨울에도 지금과 같은 예찰이 뒷받침 됐다면 최악의 AI 확산 사태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지난 3일에는 경기도 포천 산란계농가에서 AI 의심축 신고가 들어오면서 방역당국을 바짝 긴장시켰다. 지난 10월 이후 산란계농장의 첫 의심신고로 가장 큰 위기상황을 맞았다. 해당 농장 산란계 19만 7000마리와 반경 500m 이내 2개 농가 31만 3000마리에 대해 빠른 살처분 결정이 내려졌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지난해 11월 17일 전북 고창에서 분리한 H5N6형은 병원성이 강하고 전파력이 빨라서 적은 양으로도 감염이 가능한 강한 바이러스라고 밝혔다. 올겨울 전북 고창과 전남 영암 등지의 오리농가에는 최소 2가지의 고병원성 AI 바이러스가 야생조류를 매개로 국내에 유입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한 순간의 방심으로 전국 확산도 가능하다 것을 의미한다.

이번 겨울에는 지금까지 과거보다 빠르고 과감한 초동대응이 돋보인다. 고병원성 AI에 대한 통제 가능성도 보여주고 있다. 지난 몇 년과 다른 가축 방역 역사를 새롭게 쓰고 있다. 2016년에 발생한 AI는 단시일에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3000만 마리 이상의 가금류 살처분이라는 사상 최악의 피해를 낳았다. 이번에도 정부가 발 빠르게 바이러스를 검출해 내지 못했다면, 지금쯤 전국은 AI 발생으로 난리가 났을 수 있다.

지금과 같은 빠른 대응에는 “초동방역이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과감하고 신속하게 하라”는 이낙연 국무총리의 지시가 원동력이 됐다. 이후 현장에는 행동지침 등 규정에 매이기보다 확산 방지 조치를 우선 시행하는 분위기가 조성됐다. 김영록 농축산부 장관도 이러한 지시가 현장에서 반영될 수 있도록 힘을 보탰다. 지금까지는 농장에서 AI 항체가 검출되면 정밀검사 결과가 나오는 2~3일을 기다린 후 살처분에 들어갔지만 이러한 관행을 깬 과감한 대응을 지시했다.

참고로 이낙연 국무총리와 김영록 장관 모두 제 18대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에서 활동했다. 이 총리는 위원장(2008년 8월부터 2010년 5월까지)으로, 김 장관은 위원(2008년 8월부터 2012년 5월까지)으로 활동했다.

고병원성 AI 방역과 관련해 한 가지 우려 사항이 있다. 이번 겨울에는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전 행정력이 AI 색출에 동참하고 있다. 부처간 협조도 어느 해보다 잘 이뤄지고 있다. AI 발생을 막기 위한 지금의 노력이 매년 이어지길 바란다. 올림픽이 끝나도 모두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지금의 협조가 계속 이어지길 바라고 응원한다. 끝으로 12월 23일 방역업무에 매진하다 유명을 달리하신 곡성군청 故 권삼주님의 명복을 빈다. 이러한 안타까운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길 바란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