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농산업은 계속해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출산율저하에 따른 영유아, 소아의 음용인구 실종, 대체음료 시장의 확대로 인한 음용인구감소. 소비는 갈수록 줄어들 이유가 늘어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현상유지만 해도 감사할 지경이다.

이제는 군 급식마저도 위태롭다. 국방부는 지난 21일 급식혁신사업을 골자로 한 2018년 급식방침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우유를 소화시키지 못하는 장병과 낮은 우유 결산율(85%)을 고려해, 우유 기준량을 연 19회(연456회→437회) 축소한다. 이번 축소로 전체 공급량의 4%가량이 줄어든다.

군납 축소는 이미 예견돼 있었다. 지난 2014년 국방부는 250ml에서 200ml로 용량 축소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생산자 단체의 강력 반발로 인해 용량은 축소하되 횟수를 늘려 공급량은 현행 유지하는 절충안을 내놓았다.

당시의 방침 수정에 혹자는 표면적으로 늘려준 것처럼 보일뿐이지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음용횟수가 456회로 되어있긴 하지만 장병들이 실제로 먹는 횟수는 388회 뿐이라는 것. 결국 문서에만 존재하는 음용 수치를 손보는 것뿐인데 낙농산업에 손해나는 것이 있겠냐는 것이다.

결산율이 85%로 인 것을 이유로 15%를 줄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 여건을 고려해 결정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여지는 없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현재 우유 군납은 전량 협동조합을 통해 공급되고 있기 때문에 군납 축소로 인해 실질적인 피해 당사자는 서울우유를 비롯한 군납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협동조합들이다.

그러나 이 상황의 여파는 협동조합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매일 생산되는 낙농산업의 특성상 공급량이 줄어들면 또 다른 수요를 찾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결국에는 이 물량들이 시장으로 밀려나오게 되고 이 영향은 일반 유업들의 소비량에까지 연결되는 건 당연하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