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오리 입식 못하면서 전국으로 ‘풍선효과’ 유발

정부가 내논 가금 휴지기제로 중부권 최대의 오리산지인 충북지역의 오리 입식에 발이 묶이면서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충북지역의 오리 휴지기제 시행으로 수급에 차질이 빚어짐에 따라 일부 계열업체들이 전남 등 타 지역으로의 물량 확보에 나섰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감소된 물량을 타 지역에서 회복하기 위해 밀사 사육뿐 아니라 열악한 농가의 입식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AI 발생위험을 낮춘다는 본 취지와는 달리 오히려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는 자조 섞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

가금 휴지기제란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비, AI 고위험지역 소재 가금농가에 한해 동절기 사육을 제한함으로써 AI 발생위험을 낮추는 제도다.

대상은 3년 이내 2회 이상 AI 발생농장과 반경 500m 이내의 육용오리농가, 여기에 새끼오리를 공급하는 계열화업체 소속 종오리농장의 종란이다. 단가는 종란은 개당 420원, 육용오리는 마리당 510원으로 총 9억여 원이 소요된다.

정부는 겨울철 오리 휴지기제 시행으로 AI 예방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방역비용 절감과 함께 사회적 혼란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이같은 정부 의도와 달리 오리 수급불안과 함께 AI 방역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와 귀추가 주목된다.

이는 휴지기제 대상농장을 지자체의 판단 하에 확대할 수 있기 때문.

정부가 예상한 대상농가는 전국 96개소, 128만7000마리, 그중 충북도는 63개소, 65만9000마리였다.

하지만 충북도가 3년 이내 1회 이상 발생농가와 자체 판단 고위험농가로 기준을 상향함에 따라 107개소, 95만 마리로 대상이 확대됐다는 것이다.

때문에 이는 수급 차질 등의 부작용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계열업체의 반발도 크다는게 관계자의 전언이다.

이와 관련 계열사는 업체의 생산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며 불만을 토해냈다.

한 계열업체 관계자는 “당초 정부가 예상한 휴지기제 대상농가 96개소 중 충북지역만 63개소였다”며 “충북지역에서 생산되던 물량을 타 지역에서 채우려다보니 풍선효과가 나타날 수밖에 없지 않겠냐”고 반문했다.

그는 이어 “수급 부족이 지속될 경우 계열업체의 자구책으로 수입량이 늘어날 것이란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며 “타 지역 차량이 돌아다니다보니 방역에도 구멍이 뚫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게다가 이같은 풍선효과는 정부가 제대로 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않은데서 비롯됐다는게 관계자들의 공통된 견해다.

다른 계열업체 관계자는 “어느 지역이 휴지기제로 묶일 경우 해당지역에 속한 업체의 피해가 집중될 수밖에 없다”며 “정부가 업체별 감소 물량을 배정하는 등 제대로 된 가르마를 타주는게 옳다”고 강조해 이를 둘러 싼 논란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