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간담회 자리가 맞습니까? 생산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에서 대체 왜 정부의 정책만 설명하는 겁니까?”

지난달 24일 ‘AI·FMD 방역 개선대책 관련 생산자단체 간담회’가 열린 aT센터 세계로룸.

‘AI·FMD 방역 개선대책(안)’에 대한 정부 관계자의 설명이 20여 분 째 이어지자 참다못한 참석자들의 야유가 쏟아져 나왔다.

이에 정부 관계자는 금방 끝내겠다고 말했지만, 설명은 그로부터 10분이나 지속됐다.

참석자들의 말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귀를 틀어막은 채 끝까지 자신이 할 말을 이어가는 그의 모습은 작금의 축산정책 현실을 보는 것 같아 먹먹했다.

이후 진행된 토론에서 발언자들은 하나같이 “이런 중요한 사안을 간담회 한번을 통해 정하는게 말이 되느냐”며 “AI로 인한 피해와 방역개선 방안이 축종별로 상이한 만큼 별도의 간담회를 진행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결국 신임 축산국장은 이들의 요청에 따라 오리, 토종닭, 종계와 산란계 등 축종별 간담회를 별도로 진행했다.

정부가 그동안 책상에 앉아 펜대만 굴렸다는게 사실로 입증된 셈이다.

지난해 11월 중순 발생한 고병원성 AI로 인해 3월 29일 현재 3781만마리의 가금류가 땅에 묻혔다.

특히 산란계의 경우 전체 사육마릿수의 36%가, 산란종계의 경우 51.5%가 살처분됨에 따라 계란가격이 폭등해 단군 이래 최초로 신선란이 수입되기도 했다.

또한 산란계에 피해가 집중됐음에도 불구, 전 축종에 동일한 AI 대책을 실행함으로써 병아리 입식제한 등으로 육계가격이 덩달아 상승하는 문제도 겪은 바 있다.

때문에 가금업계에서는 그동안 줄기차게 계종별 특성에 맞는 방역대책을 수립해달라고 정부에 요구해오지 않았덴가.

이날 토론회에 참가한 참석자들은 정부가 그동안 얼마나 생산자들의 의견을 귓등으로 들어왔는지를 다시한번 깨달았다.

정부는 4월 중 ‘AI·FMD 방역 개선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발표되는 수정안에 생산자들과 전문가들의 의견이 얼마나 수용됐을지 여부에 온 축산업계의 시선이 쏠려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