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조사결과 지난 3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601만2000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임금 근로자의 32%를 차지한다. 고용노동부가 지난 4월 발표한 ‘2014년 고용형태별 근로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시간당 평균 임금이 정규직의 경우 1만8426원이지만 비정규직은 정규직의 62.2%인 1만1463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이라는 용어는 법률상으로 그 개념 등에 대해 규정하고 있지 않다. 단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기업이 인건비 절감과 고용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간제, 시간근로자 등 고용의 지속성이 보장되지 않는 근로자의 채용이 증가되면서 근로자의 고용형태를 나타내는 보편적 용어로 사용하게 됐다.

일반적으로 ‘정규직’은 정년까지 고용을 보장하며 전일제(full-time)로 근무하고 고용과 사용이 분리되지 않는 근로자를 말한다.

‘비정규직은’ 국제적으로 통일된 기준은 없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2002년 7월 노사정위원회에서 노사정 합의에 따라 ‘한시적·시간제·비전형근로자’라는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문제는 비정규직 근로자 규모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세지만 임금 등 처우는 여전히 열악하다는 것이다.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정규직과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정규직 근로자들이 기피하고 있는 업무를 주로 맡고 있는데도 말이다.

축산업의 경우에도 이 같은 사례는 빈번하다. 그 중 대표적인 예로 농·축협 공동방제단원을 들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450여 팀의 농·축협 공동방제단이 구성돼 축산 현장에서 묵묵히 힘든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들 단원들은 1명당 하루 평균 20여개 축산농장의 소독을 담당하고 있다. 소독약을 뒤집어쓰거나 넘어지고, 부딪혀 다치는 일도 허다하다. 그야말로 축산업의 숨은 일꾼들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들 대다수는 비정규직으로 정규직의 절반 정도 수준의 급여를 받고 있다. 이 같은 처우는 공동방제단원들의 자부심과 긍지를 강탈하는 행태라 할 수 있다.

때문에 이들의 고용안정과 처우 개선을 위한 조치가 조속히 추진돼야 한다. 이는 축산업의 숨은 일꾼들에 대한 마땅한 도리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