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민원이다. 민원을 마주한다는 것은 그들의 생존권이 위태로워진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서울·경기 인근 축산농가들은 도시개발 계획에 따라 신도시가 생겨나면 그때부터 민원 전쟁이 시작된다. 악취의 근원과 혐오시설이라는 이유로 빗발치는 민원 때문에 일순간에 가해자가 된다. 그나마 사정이 나았던 지방도 이제 예외가 아니다. 대표적으로 최근 들어 서는 전남 나주시가 민원 처리에 고심하고 있다. 농어촌공사, 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등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이주가 이어지면서 혁신도시 입주민들이 악취 때문에 못살겠다고 아우성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인근 양돈장에서 발생한 악취로 인해 혁신도시 발전의 걸림돌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에서 불과 800여m밖에 떨어지지 않은 마을에 80여명의 마을주민 대부분이 양돈 등 축산으로 생계를 이어가고 있는데, 이들을 이주시켜달라는 것이다.

혁신도시 입주자들을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미 터전을 잡고 살아온 지 60년이 다되어가는 마을을 한순간에 옮기는 것 자체가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는 것과 다를 바 없다는 것이 아닌가. 사람이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악취라면 그 마을 인근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은 어떻게 생활한다는 말인가. 나주 현지 주민은 우리는 괜찮은데 도시에서 와서 그런지 생소한 냄새가 바람을 타고 넘어와서 생활이 어렵다고들 한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고 한다. 혁신도시 이전으로 인한 이주민들만 고통을 겪는 것은 아니다. 마을 주민들도 민원으로 인한 규제 강화로 한집걸러 하나씩 과태료에 몸살을 앓고있어 생활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에 지자체에 해결방안 마련을 요구, 아니 호소하고 있다. 삶의 터전과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서 말이다.

애초에 혁신도시 건설 때부터 이 같은 민원은 예견된 것이었기 때문에 지자체에도 일부 책임은 있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나주시는 전북 익산 왕궁 축산단지 사례처럼 농가를 집단 이주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나 60여만㎡에 달하는 이 마을의 환경개선 사업에 최소 6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자체의 예산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에 실행 가능여부는 불투명하다.

시간이 지날수록 갈등은 극에 달할 것은 당연하기에 조속한 조치가 필요하다. 혁신도시 이전을 추진한 정부, 지자체, 이해당사자인 입주민들과 마을주민들이 적극 나서서 마을도 살고 혁신도시도 사는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