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계분 발생량은 마리당 1일 평균 124.7g으로 2013년 우리나라 전체 산란계에서 발생된 계분량은 1일 7815톤, 한해 285만톤이 넘어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대다수의 산란계농가가 분뇨처리업체에 비용을 지불하고 분뇨를 처리하고 있다. 산란계농장들은 비용 부담뿐만 아니라 계분에서 발생하는 악취로 인한 민원 문제 발생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키 위해 일부 농가들이 계분을 퇴비로 생산하는 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경제성이 낮아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수억 원을 들여 계분 퇴비생산시설을 갖췄지만 퇴비를 판매할 수 있는 판로가 적어 시설운영이 힘든 상태다.

경기도 김포의 한 농장의 경우 한해 7~8만여 포의 계분퇴비를 생산하고 있지만 경기도 내 경종농가나 농협에서의 퇴비 수요가 적어 타 지역에 판로를 개척하려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타 지역의 경우 인맥이 없어 그 지역을 잘 파악하고 있는 딜러를 통해야하고, 믿음직한 딜러를 구한다 해도 딜러에게 지불하는 영업비용이나 운송비용 등을 감안하면 투자 대비 수익이 터무니없이 낮다는 설명이다.

정부 기관의 지나친 단속도 문제다. 최근에는 불시 단속으로 영업정지 1년의 행정처분을 받은 농장의 사례도 전해지고 있다. 이 농장의 경우 1등급 퇴비만을 생산해 오다 수분함량 기준을 충족치 못한 딱 한 번의 실수가 발목을 잡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대다수의 산란계농가들이 자체적으로 계분 퇴비를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는 것을 꺼리고 있다. 또한 기존에 시설을 갖추고 있는 농가들도 시설 운영을 위탁업체에 맡겨 버리는 사례가 늘고 있다. 운영 할수록 적자 폭만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웃나라 일본은 정부나 지자체 차원에서 가축분뇨를 활용하기 위한 처리기술개발에 중점을 두고 퇴비화, 공급체계 및 소비처 발굴에 정책적인 지원을 높여가고 있다.

프랑스도 관련 협회가 나서 정부 업무를 대행하며 경종농가와의 협업시스템을 잘 구축해 계분을 활용한 제품 개발 및 소비가 원활이 이뤄지고 있다.

가축분뇨 처리 문제는 우리나라 축산업이 풀어야할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다. 이런 측면에서 가축분뇨 퇴비화는 가장 적합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과 소비가 원활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단속보다는 계도 중심의 정책이 이뤄져야 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