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용의약품 업계가 장기적 침체 국면을 벗어나기 위해 수출에 주력하고 있다.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다국적기업 제품과 견줄 수 있는 특화된 수출 전략 품목 등의 신약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동물약품 업계의 영세한 산업구조상 신약 개발을 위한 인력 및 R&D 투자 역량이 미흡해 경쟁력 있는 신제품 개발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렇다 보니 현재 국내 업체들의 수출 품목은 주로 제네릭(복제약) 화학제제 중심으로 구성돼 있다.

동물약품 국제경쟁력 강화 연구보고서(수출현황)에 따르면 복제약이 대부분인 화학제제의 경우 2012614개 품목이 수출되고 있지만 그나마 경쟁력이 있는 생물학적제제(백신)115개에 불과하고, 또한 특화 제품인 항생물질 대체제 등은 전무한 실정이다.

한편 최근 실시된 동물약품 연구개발과제 수요조사 결과 국내 14개 기업이 43개 과제를 제안했고 과제별 연구비용이 평균 59000만원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환산하면 254억원의 연구개발 비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정부의 동물약품 R&D 예산은 201213억원, 201315억원에 불과하다. 더군다나 정부가 지난해 동물약품 수출 육성을 위해 내놓은 동물약품 산업 활성화 대책에 생산시설 신축 및 개보수 지원예산은 포함됐지만 지속적 지원대상인 R&D 분야의 예산은 누락됐다.

정부의 대책이 하드웨어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보니 자칫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불균형을 이루는 정책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업계의 노력과 정부의 지원으로 동물약품 수출 육성을 위한 하드웨어 구축이 본격화 했다. 이제는 소프트웨어를 구축해야 할 차례다.

동물약품 연구개발을 통해 연간 10개 과제가 실용화돼 수출로 이어질 경우 연간 84억원의 수출누증효과로 이어져 201684억원, 2017168억원, 2018252억원의 수출 증대 효과가 발생한다는 분석 자료가 있다.

이 결과를 보더라도 동물약품 산업이 무한 경쟁의 글로벌 시장에서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에 대한 정부의 정책 및 예산 지원은 필수적이다.

내년도 정부의 동물약품 산업 종합지원사업 예산에 동물약품 분야 R&D 예산이 추가 편성되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