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경제연구소 주최 심포지엄서 전문가들 한 목소리 지적

 
▲ 농협경제연구소 주최로 열린 ‘판매농협 구현’ 심포지엄 장면. 
판매농협 구현의 성공을 위해서는 현재 농협중앙회가 계획·추진하고 있는 설비와 지분 투자 계획을 심도 있게 재고하고 하드웨어(설비 부문 투자)보다 인력 구성과 마켓팅 전략을 우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농협경제연구소(대표이사 이수화) 주최로 지난 12일 농협중앙회 2층 중회의실에서 열린 ‘농업인과 국민에게 다가가는 판매농협 구현’ 심포지엄에서 토론자로 나선 양승룡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는 “판매농협은 소비자에 대한 마케팅 전략에 중점을 둬야 하지만 농협의 경제사업활성화 추진계획은 이와는 달리 설비와 지분투자 방식에 집중돼 있어 우려된다”면서 “각 유통단계의 하드웨어 위주의 사업 추진을 재고하고, 사업 속도와 투자규모에 대한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박세문 농협중앙회 농업경제기획부장이 발표한 판매 농협 구현을 위한 경제사업활성화 추진계획(안)에 따르면 농·축산경제부문 총 42개 사업에 총 4조 9592억원을 투자한다. 이 가운데 ’12년 초기 5년간 집중적으로 설비 및 지분 투자를 실시, 5년간 3조4250억원 등 전체 사업계획 중 69%를 마무리 짓는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농협은 2020년 산지 유통 시장 점유비를 현재 43%에서 62%로, 도매유통과 소매유통 점유를 각각 40%와 15% 수준까지 끌어 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양 교수는 “산지유통은 곧 농협인데 현재 시장 점유비가 43% 라는 것은 산지 조직화의 문제를 여실히 드러낸 것”이라면서 “더구나 더욱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소매사업부문에다 네트워크와 정보가 결집된 수십년 역사의 도매유통 시장점유율을 계획처럼 늘리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인력과 마케팅 전략 중용성을 간과한 채 마켓쉐어를 늘릴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박영범 지역농업네트워크 대표 역시 “농협중앙회는 시설투자만을 고집하지 말고 지역농협 사업을 품목과 도시농협 사업으로 끌어내어 조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판매농협 구현을 위한 경제사업활성화 추진계획안’에는 가장 중요한 조직인력 구성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 빠져있다”고 지적했다.
서해동 농림수산식품부 유통정책과장은 “농협이 모든 것을 다하겠다는 생각보다 산지조합, 영농조합, 도시 소비자, 소비자 단체, 다른 유통업체 등과 상생협력을 통해 같이 가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경제사업 활성화를 할 때 산지조합과 상생협력을 전제하고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3주제 발표에 나선 김동환 안양대 교수는 ‘농협의 농축산물 유통계열화와 자회사의 역할’에서 “산지-도매-소매에 이르는 농협 계통의 유통단계간 연계성 강화를 위해서는 계열화체계 구축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생산자 주도형 유통체계 확립을 가능하게 하고 대형유통업체의 시장 지배력에 대한 대응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농가와 산지 조합간 계열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첫 출발”이라고 밝혔다.
김 교수에 따르면 민간 계열업체가 물량 확보를 통한 시장 교섭력을 확대하고 있지만 생산자조직인 농협의 교섭력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계열화사업에서 시장점유율은 양돈 12.4%, 육계 5.4%, 채소류의 계약재배 비율은 9.2%에 불과해 계약 생산 비율을 크게 높여야 한다.
김 교수는 또 “농협중앙회와 하나로마트와 연계성을 강화해 계통구매 비율을 높이는 한편 대형유통업체에 대해서는 산지조합을 대신한 알선판매 위주로 도매 판매를 추진해야 한다”면서 “특히 지도?지원 기능을 제외한 도소매사업 기능을 농협중앙회에서 자회사로 이관하는 한편, 자회사와 조합간 계열화를 도모하기 위해 자회사에 대한 조합을 출자 등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