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사장

2006년 새해가 밝았다. 다사다난했던 지난해는 우리 농업인, 농축산업계에 어려움이 많았던 한 해였다.
결사적으로 반대했던 쌀협상 비준 안이 국회에서 처리됨으로써 극에 달했던 우리 농업인들의 좌절감과 충격이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절절히 표출되고 시위에 참여했던 농업인들의 잇단 사망에 슬픔이 이루 말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던 시점에 홍콩에서 개막된 제6차 WTO(세계무역기구)각료회의 선언문은 우리 정부와 농축산업계에 ‘개도국 지위 확보’라는 최대 숙제와 함께 많은 과제를 안겨주었다.
따라서 농정 당국을 비롯한 우리 농축산업계는 올해도 역시 당면한 숙제와 과제들을 해결하는 동시에 무한경쟁을 의미하는 개방시대의 요구와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는 대책 마련에 슬기와 지혜를 모으고 전력투구를 해야할 입장인 만큼 잠시도 마음을 놓을 수 없을 것 같다.
○친환경농업 육성 올해로 10년
올해는 정부가‘21세기를 향한 농림수산 환경정책’을 수립하고 본격적으로 추진했던 친환경농업 육성이 10년째에 접어드는 해다.
지난 96년, 농정 당국이 국내외 여건 변화에 부응 친환경농업 육성에 대한 중장기적인 정책비전과 방향을 제시한 이후 그동안 친환경농업 생산, 유통은 꾸준히 확대되는 추이를 보이긴 했으나 농업인들의 의식 속에 뿌리 깊이 자리잡은 일반 관행농업과 선호경향 때문에 미미한 수준을 탈피하지 못했다.
미국을 비롯한 EU, 일본 등에 비하면 현재 우리나라 친환경농축산업 수준은 이제 막 준비단계에 도달해 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친환경농축산업은 경제적 생산성을 중시하는 관행농축산업에서 탈피해 농업과 환경보전, 농축산식품의 안전성을 동시에 고려해 생산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농축산업이다.
또 농축산업과 환경을 조화시키는 생산을 유도해 농가소득을 증대하고 환경을 보전하면서 농축산물의 안전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농축산업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친환경농축산업은 국내외적으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는 시대가 요구하고 있고 일반 농산물에 비해 가격이 비싸도 건강과 환경보전을 위해 보다 안전하고 보다 환경 친화적인 농축산물을 소비하려는 욕구를 증대시키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소비자가 바라고 있다.
정부의 친환경농축산업 육성 정책방향이나 추진 목표는 그동안 구체적으로 제시됐었다. 또 목표 달성을 위한 기본 추진 전략과 추진과제도 세부적으로 제시된 가운데 실행됐었다.
하지만 일반 관행농축산업 선호 경향과 소비자의 불신 등이 저해요인으로 작용했고 실천 의지 결여와 실천기반 확보가 문제였다.
○가축분뇨 자원화 큰 기대
다행히 큰 기대를 걸어보고 싶은‘자연순환농업’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돼 확산될 전망이라고 한다. 이 같은 전망은 지역 단위 일선농협과 지역 및 품목축협을 지역별, 권역별로 연계시켜 ‘자연순환농업’실천에 박차를 가하는 정책사업을 정부와 농협이 올해 본격 착수, 전국적으로 확대하는 계획을 발표 뒷받침했다.
친환경농축산업과‘자연순환농업’실천에서 가축분뇨 자원화는 빼놓을 수 없는 요소다. 그동안 우리 축산농가들은 일반 관행농업 선호경향 때문에 땅을 기름지게 하는 유기자원인 축분(畜糞) 처리에 골치를 앓아왔고 경제적 부담도 엄청나게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심지어는 환경과 수질을 오염시키는 주범으로 지목되고 처벌을 받고 구속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축산농가들의 가축분뇨처리 부담과 수모가 친환경농축산업과 자연순환농업 실천으로 시원하게 해소되길 새해 벽두에 간절히 소망하며 지역축협과 지역 단위농협이 유기적인 공조체제로 자연순환농업 실천과 확산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 줄 것을 덧붙여 바란다.
아울러 전국의 모든 축산농가를 비롯한 축산 및 관련업계가 소비자를 감동시키는 축산업 구현과 축산물 생산, 공급으로 ‘지속 가능한 축산업’기반을 탄탄히 구축하는 한 해가 되길 기원한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