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약 수출 급감…대책 마련 시급
동약 수출 급감…대책 마련 시급
  • 김기슬 기자
  • 승인 2023.09.22 15: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 저가 물량 공세 밀려
상반기, 전년동기비 39%나
수출 원료 대체 품목 발굴
신규 국가·품목 확대 절실
정부 예산 지원 필요한 때
협회 자문회의에서 지적

 

[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한국동물약품협회가 지난 19일 서머셋 센트럴 분당에서 ‘2023 제2차 자문위원회’를 열고 동물약품 수출 확대 방안을 모색했다.
협회에 따르면 올 상반기 동물약품 수출액은 1억2933만1000달러로 전년 동기 2억1235만2000달러보다 무려 39.1%나 하락했다.
가장 큰 이유는 동물약품 전체 수출의 43%를 차지하는 원료 수출 감소로, 이는 중국의 저가제품 공급에 따른 가격 경쟁력 약화가 원인으로 나타났다. 화학제제 수출도 주춤했는데 사유는 동남아시아 등 수입국의 경제 악화 및 외화 유출 제제였다. 이에 따라 주요 수출원료의 대체품목 발굴과 함께 중국 등 신흥 수출국가 개척, 신규 수출품목 확대 등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약품 지원사업 예산을 증액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최근 국가 보조사업 및 신규사업 예산 축소·동결 추세에 따라 내년도 동물용의약품 등 종합지원사업 예산(안)이 올해보다 줄어든 데다, 국가 간 네트워크 구축사업 예산은 아예 삭감됐다는 것. 때문에 국정과제인 동물약품 수출확대 기조에 부응키 위해선 정부의 예산 뒷받침이 뒤따라야 한다는 게 이들 주장의 근간이다.
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최근 중국이 동물약품산업 발전에 박차를 가하는 등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는 만큼 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선 EU 수준으로의 GMP 상향화가 시급하다는 것이다. 
정병곤 회장은 “현재 중국에 동물약품 5개 품목에 대한 등록이 진행 중으로 금년 내 1~2품목 등록이 가능할 것으로 점쳐진다”면서 “동물약품의 신속 등록 협조를 요청해 대중국 동물약품 수출에 속도를 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김정희 농림축산검역본부장은 “검역본부장으로서 동물약품업계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불합리한 제도는 개선해나가면서 동물약품산업의 발전을 위해 돕겠다”며 “동물약품시장 5조 원 달성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해 추진할 것”이라며 많은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
한편, 이날 자문위에선 김정희 농림축산검역본부장과 안용덕 농림축산식품부 방역정책국장을 신규 자문위원으로 위촉하는 한편, 이상목 건국대학교 명예교수를 신규 자문위원장으로 추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