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소, 규칙적·위생적 착유 필수
돼지, 마릿수 유지 밀집 피해야
닭, 찬 공기 막고 환기는 충분히

[축산경제신문 이국열 기자] 국립축산과학원은 일교차가 큰 환절기 가축 면역력 저하를 대비할 수 있는 올바른 사양관리 방법을 소개했다. 환절기는 환경변화로 스트레스를 받은 가축의 면역력이 약해지고 각종 질병에 노출될 수 있는 시기다. 면역력이 떨어진 가축은 바이러스와 세균 감염으로 호흡기·소화기 질병에 쉽게 걸릴 수 있어 사양관리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 한우
고온기에 줄었던 사료량이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늘어나므로 사료를 넉넉하게 주고 깨끗한 물을 충분히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 미네랄을 보충해 면역력 증진을 돕는다. 갓 태어난 송아지는 초유를 충분히 먹이고, 큰 일교차에 대비해 바람막이와 보온관리로 각종 질병을 예방한다.
무더위로 번식이 지연된 암소(번식우)는 아침·저녁에 발정하는지 관찰해 적기 수정으로 번식률을 높인다.
# 젖소
유방염에 걸릴 수 있으므로 규칙적이고 위생적인 착유 관리가 필요하다.
축사 바닥은 늘 건조하게 유지하고, 분만 후 젖 분비(비유) 초기에 에너지 사료와 함께 영양제를 보충해 빠른 회복을 돕는다.
# 돼지
돈방 내 적정한 마릿수를 유지하고, 밀집사육을 피해 호흡기 질환을 예방한다. 돈사 내·외부 온도 및 습도를 고려해 환기에 신경 쓴다.
특히 성장단계별로 적정 사육온도가 크게 다르므로 적정 사육온도 유지에 유의한다.
돈사 내 습도가 높으면 공기 중 세균이 많아지고, 습도가 낮으면 돼지의 기도가 건조해져 질병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적정 습도를 유지한다.
# 닭
계사 내 차가운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고, 열풍기를 미리 점검해 적정 사육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바로 가동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온도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적정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끔 낮에 충분히 환기한다.
환절기에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등 질병 발생 위험이 커지므로 계사 주변 소독과 방역을 철저히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