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공장 설립 수급 안정 최선”
계란의 공급·소비 비탄력적
가격 폭락·폭등 자주 발생
남은 계란 액란화 한다면
농가 안정·협회 수입 창출
‘스마트 산란계산업협회’
사단법인 인가 같은 의미
내년부터 본격 추진할 것
정부 지원 위해 적극 노력
‘사육면적 확대’의 백지화
산란성계 수출국 다변화
식생활 패턴 맞는 레시피
새로운 소비처 발굴할 것

[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산란계농가의 경영 안정을 위해 가공공장을 설립해 계란 수급 및 가격안정을 도모하겠다.”
안두영 대한산란계협회장은 지난 8일 협회 창립 1주년을 앞두고 가진 전문지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산란계산업의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매년 겨울 고병원성 AI 발생에 따른 살처분이 정례화됨에 따라 겨울에는 계란이 모자라고, 생산성이 회복되는 여름에는 계란이 남아도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 이에 산란계협회가 계란가공공장을 설립해, 가격이 낮은 여름철 비수기에 계란을 수매해 액란으로 가공·저장하고, 가격이 높은 겨울철 성수기에 이를 방출해 수급 안정을 꾀하겠다는 구상이다.
“소비자 물가와 산란계농가의 경영 안정에 직결되는 것은 수급”이라는 안두영 회장은 “계란의 공급과 소비는 비탄력적이기 때문에 과다공급은 가격을 폭락시키고, 과소공급은 가격을 폭등시킨다”며 “이를 완충하기 위해서는 계란 비축가공시설을 설치해 과잉 공급일 때 액란을 비축하거나 가공해 수출하고, 공급이 부족할 때 이를 방출하는 것이 경영안정과 함께 물가안정과 수입감소를 꾀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생란은 저장 기능이 없지만 액란은 냉동시 최대 2년까지 저장할 수 있는 만큼, 남는 계란을 액란화한다면 농가는 안정적으로 농장을 경영하고, 협회는 수입을 창출하며, 정부는 물가안정을 도모하는 등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안 회장은 이어 “최근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스마트산란계산업협회’의 사단법인 인가를 받은 것도 이의 일환이다. 올해 부지 선정과 대략적인 외형 등 청사진을 마련해 내년부터 본격 추진할 계획”이라며 “정부로부터 계란 수급조절용 가공장 설치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협회는 역점사업인 산란계농가의 소득세 비과세기준 상향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최근 채란업계의 환경은 사료값 인상뿐만 아니라 최저임금 상승, 규제 증가 등으로 크게 악화돼 경쟁력 강화가 절실한 반면 닭의 비과세 사육마릿수는 지난 2008년 1만5000마리로 결정된 후 15년간 조정되지 않고 있다는게 그 이유다. 특히 소와 돼지의 비과세 사육마릿수는 2012년 각각 30마리에서 50마리, 500마리에서 700마리로 상향 조정돼 형평성에 맞지 않은 만큼 산란계농가의 경영 안정과 세금부담 경감을 위해 닭의 비과세 기준을 5만 마리로 확대·개정하겠다는 각오다.
아울러 협회는 2년 앞으로 다가온 ‘산란계 사육면적 확대’ 백지화를 위해 적극 대응해나갈 계획이다. 사육마릿수가 감소할 경우 농가 매출은 감소하고 생산원가는 상승해 계란값 상승으로 직결될 수밖에 없으며, 농가뿐 아니라 사료·약품·기자재·시설 등 관련 산업까지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안인 만큼 연구용역을 추진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협회의 입장을 관철시킬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산란성계의 안정적인 소비를 위해 수출국 다변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국내 산란노계의 대부분이 베트남으로 수출되는 까닭에 수출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 국내 산란계농가에 미치는 타격이 크다는 것. 때문에 국내에서도 식생활 패턴에 맞는 새로운 레시피를 개발하거나 소비처를 개척하는 것이 시급한 사안인 만큼 계란자조금을 활용하는 등 합리적인 방안을 적극 강구한다는 것이다.
안두영 회장은 “산란계협회는 산란계농가만으로 구성된 전문협회로 출범했으나 채란업계에는 그간 해결하지 못한 많은 난제들이 산적해 있는 상황”이라며 “이같은 문제들을 일시에 해결할 수는 없지만, 회원들의 중지를 모아 하나하나 해결해 나가겠다”며 회원들의 많은 관심과 성원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