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 축종 순수익 감소 속
육계만 늘어났다는 결과물 “엉터리” 비난

업계, 마리당 평균 1800원
통계청과 25% 이상 차이나
단순한 해석으로 현실 왜곡

[축산경제신문 김기슬 기자]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축산물생산비 조사결과 중 육계 부문은 터무니 없는 수치로 신뢰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다.
통계청은 지난달 26일 ‘2022년 축산물생산비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축산물생산비가 모든 축종에서 증가해 한우·육우·젖소·돼지·산란계 등 6개 축종은 순수익이 감소했으나 유독 육계만 순수익이 늘었다는 게 이의 골자다. 
지난해 육계 생산비는 사료비와 병아리값 상승 등에 기인해 kg당 1431원으로, 전년 대비 119원(9.0%) 증가했다는 것. 반면 순수익은 닭고기 가격상승에 따라 전년 대비 195원(300.8%) 증가한 마리당 260원으로 집계됐다는 게 통계청의 주장이다.
이 같은 통계청의 결과에 닭고기 업계는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육계 농가의 수익이 300% 증가했다는 통계청의 엉터리 발표가 현장의 상황을 왜곡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통계청이 ‘육계 수익 300% 증가’라고 표현함으로써 농가가 폭리를 취하는 것처럼 국민이 오해할 수 있는 상황이 됐다”라면서 “터무니없는 통계청의 발표로 농가들은 고통을 받는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실제 통계청이 산출한 육계 생산비와 업계가 산출한 생산비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업계는 지난해 육계의 생산원가가 사료 900원, 병아리 370원, 수수료 350원, 기타 180원 등 평균 1800원 수준으로, 통계청의 1431원과는 25% 이상 편차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 업계 전문가는 “지난해 고곡가, 고환율, 고유가로 축산농가 모두 직격탄을 맞았는데 육계라고 다를 리 있겠느냐?”며 “통계청은 생계 시세가 전년보다 상승했으니 농가의 수익도 증가했다는 단순 해석으로 어려움을 겪는 육계 농가의 현실을 왜곡하고 있다”라고 꼬집었다.
문제는 이 같은 통계가 해당 산업과 농가들에 밀접한 영향을 끼친다는 데 있다. 통계청의 조사는 국가 정책의 지표가 되고, 해당 축산물의 수입량 결정 등에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되기 때문이다.
다른 육계 전문가는 “안 그래도 이번 정부는 밥상물가 잡기에만 치중하고 있다. 육계 농가의 수익이 급증했다는 이번 조사결과는 닭고기 관련 정책 수립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면서 “통계로 파생되는 효과와 책임이 큰 만큼 통계청은 잘못된 통계를 즉각 시정하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