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피스, 방안 제시

[축산경제신문 이국열 기자] 꿀벌 소멸을 막으려면 밀원면적이 최소 30만ha(헥타르)가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는 현재 국내 밀원면적 15만ha의 두 배, 여의도 면적의 1000배 규모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지난 18일 안동대학교 산업협력단과 ‘벌의 위기와 보호 정책 제안’을 발간, 국내 꿀벌 소멸 원인과 해결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에는 국내 주요 밀원수인 아까시나무 노령화 등으로 밀원면적은 지난 50여 년간 약 32.5만ha가 사라진 가운데, 꿀벌들은 영양 부족으로 인한 면역력 저하로 응애, 농약, 살충제, 말벌 등 피해에 더욱 취약해지며 꿀벌 소멸이 촉발됐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현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밀원면적이 최소한 30만ha가 조성돼야 한다고 강조하며, △국·공유림 내 다양한 밀원 조성 △사유림 내 생태계 서비스 제공 조림의 직접 지불 확대△생활권 화분 매개 서식지 확대 △국무총리 산하 위원회 설립을 제안했다.
특히 이번 보고서는 국내 밀원면적을 30만ha로 늘려야 한다고 구체적인 수치가 제시되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벌통 하나의 천연 꿀 요구량은 최소 30kg이며, 1ha의 밀원수에서 약 300kg의 꿀이 생산될 수 있다. 국내 250만 군 이상의 양봉꿀벌과 재래꿀벌, 야생벌 등을 고려하면 최소 30만ha의 밀원면적이 필요하다는 계산이다. 
그린피스 관계자는 “조림·산림 계획을 수정하고,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지역 특화형 밀원수를 보급한다면 현 상황을 빠르게 개선할 수 있다”라며 “밀원식물의 종류를 다채롭게 구성해 꿀벌이 연중 채밀할 수 있도록 조성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산림청은 매년 약 3800ha씩 밀원면적을 확대하겠다고 밝혔으나, 이 속도대로라면 필요 밀원면적을 확보하는 데 약 40년이 걸리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