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경제신문 이국열 기자] 농식품부의 꿀벌 피해 대책은 변함이 없다. 피해 규모 축소에 급급한 나머지 현장 목소리는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양봉업계가 호소하는 꿀벌 소멸과 이상기후의 연관성에 대해선 일언반구도 없이 하고 싶은 말만 일방적으로 늘어놓는다. 최근 농식품부가 출범시킨 ‘지속가능한 양봉산업 협의체’를 바라보는 시선이 별 감흥이 없는 것도, 협의체가 내세운 요지가 “일부 양봉농가만 꿀벌 피해가 있다”여서다. 꿀벌 소멸이 전국으로 확산되던 2021년과 판에 박은 듯 똑같은 모양새다.
협의체는 꿀벌은 일반적으로 매년 15% 정도 폐사하며, 지난해에 비해 17.5%만 사라졌기 때문에 양봉산업 피해는 크지 않다고 밝혔다. 양봉농가들이 주장하는 최소 50% 소멸과 너무나 차이 난다. 마치 꿀벌 소멸 피해를 회복했다는 말로 들리는데, 여전히 꿀벌 소멸로부터 고통 받고 있는 양봉농가들은 전혀 공감할 수 없다. 또 올해는 기후여건이 좋아 꿀벌 증식이 원활히 이뤄졌다는 입장이다. 벌통에 꿀벌이 다 들어갈 수 없을 만큼 개체수가 늘었고, 꿀도 벌통에 가득 차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한다. 
사실이 아니다. 꿀벌 개체수가 늘어난 것은 양봉농가들이 5월 채밀을 위해 어쩔 수 없이 빚을 내 꿀벌을 구매했기 때문이다. 기후여건도 4월부터 시작된 급작스런 추위와 5월초 기록적인 폭우로 중남부 지역은 채밀을 거의 못하다시피 했다. 협의체는 북부지역, 그것도 경기도 파주지역 일부 양봉농가의 채밀현장을 보고 내린 결론이다. 
양봉농가 상황은 전혀 나아지지 않았고, 오히려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연달아 발생한 꿀벌 소멸 피해를 회복하기도 전에 이상기후로 벌꿀 생산이 평년 절반에도 못 미치며 생업 존폐의 위기로 내몰린 처지다. 꿀벌 소멸과 이상기후가 맞물리면서 양봉농가들의 숨통을 옥죄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느지막이 협의체를 꾸려 매월 한차례씩 운영하겠다고 하니 양봉농가들은 더 속 터질 노릇이다. 지금은 농식품부의 전격적인 지원이 해답이다. 꿀벌 피해 원인 규명에만 매달리기보단 꿀벌을 보호하고 양봉산업을 지속할 수 있는 ‘선 지원 후 규명’ 같은 결단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축산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